컨텐츠 바로가기

11.09 (토)

[사설] 미 금리인하에도 트럼프발 인플레 우려, 한은 서둘 이유 없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7일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워싱턴=AF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7일 기준금리를 4.5~4.7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지난 9월 0.5%포인트 ‘빅컷’을 단행한 데 이어 두 차례 연속 내렸다. 연준은 경제 활동이 견고하고 실업률이 낮은 수준이며 인플레이션도 목표치(2%)로 다가가고 있다는 점을 배경으로 설명했다.

이번 조치로 우리나라(3.25%)와 미국의 기준금리 격차는 1.5%포인트(상단 기준)로 줄었다. 지난해 2%포인트까지 벌어졌던 금리 차가 좁혀진 건 다행이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00원 선까지 뚫은 점을 감안하면 시장 안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은행도 금리 차에 대한 부담을 다소 덜게 됐다.

일각에선 우리도 경기 부양 등을 위해 금리를 내려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반드시 미국을 따라가야 하는 건 아니다. 환율이 다시 1,300원대로 복귀하긴 했지만 변동성은 여전히 큰 상태다. 외국인이 주식을 계속 팔고 있는 점도 심상찮다. 8~10월 누적 순매도는 무려 116억 달러(약 16조 원)에 달했다. 섣부른 금리 인하는 자칫 원화 가치 하락과 외국인 순매도만 키울 수도 있다. 무엇보다 미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승리한 만큼 연준의 금리인하 기조가 바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공화당이 의회 상·하원까지 장악하며 트럼프 당선자가 공약한 고관세 정책은 실현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미국은 수입 물가가 상승, 금리를 더 내리긴 힘들거나 아예 올려야 할 수도 있다.

오는 28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열린다. 트럼프 시대의 불확실성은 더 커졌다. 소비자물가지수가 두 달 연속 1%대 상승에 그친 것으로 발표됐지만 체감 물가는 높은 상황이다. 더구나 지난달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전달보다 6조 원이나 늘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집값 상승세가 둔화하고 있다고 하지만 아직 불안감은 여전하다. 물가를 자극하고 사상 최대 가계 빚 폭탄을 더 늘리는 금리 인하를 한은이 서두를 이유는 전혀 없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