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비트코인 관련주 등 '트럼프 트레이드' 뚜렷
대형 기술주 부진 속 트럼프 수혜주 테슬라 상승 이어가
국내 증시 부진 지속…신저가 종목 2배 증가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 1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04.14포인트(0.69%) 오른 4만4293.13으로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전장보다 5.81포인트(0.1%) 오른 6001.35,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1.98포인트(0.06%) 오른 1만9298.76에 장을 마감했다. 3대 지수 모두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다.
이날 '트럼프 2.0' 시대에 규제 해소가 기대되는 금융주가 강세였다. JP모건체이스와 골드만삭스가 각각 0.97%, 2.22% 올랐다. 뱅크오브아메리카(2.10%)와 씨티그룹(1.71%)도 동반 상승했다. 트럼프는 금융에 대한 규제를 완화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 다른 규제 철폐 대상으로 주목받는 비트코인(BTC) 관련주도 강세를 이어갔다. BTC 최다 보유 기업으로 알려진 마이크로스트레티지가 25.73% 급등했으며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베이스도 19.76% 상승했다. BTC는 신고가 랠리를 이어가며 8만9000달러를 돌파했다.
그간 증시를 이끌었던 대형 기술주는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이었다. '매그니피센트 7(M7, 애플·마이크로소프트·구글 알파벳·아마존·엔비디아·메타·테슬라)' 중에서 테슬라(8.96%)와 구글 알파벳(1.17%)을 제외하면 모두 1% 내외 하락폭을 그렸다.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 가 트럼프 선거운동에 적극적으로 가담한 이후 테슬라는 트럼프 당선의 최대 수혜주 중 하나다. 일각에서는 머스크가 차기 내각에 참여할 것이며 테슬라가 자율주행, 인공지능(AI) 사업에서 정부의 지원을 받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모건스탠리 웰스매니지먼트의 최고투자책임자 리사 샬렛은 "공화당의 결정적인 승리는 '동물적 충동'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며 "현 상황을 경기 연착륙이나 노랜딩(무착륙)의 근본적인 시나리오 변화로 보기보다는 감정과 유동성 주도적 포지셔닝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시장은 당분간 트럼프 2기에 수혜를 받는 자산에 투심이 쏠리는 '트럼프 트레이드'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주말 사이 미 하원에서 공화당의 확보 의석수가 증가하며 '레드 웨이브' 가능성도 더욱 높아졌다. 한편 10월 일본은행(BOJ) 금융정책결정회의(10월 30일~31일) 의사록 요약본에 따르면, 당분간 금리를 신중하게 인상하기로 동결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의사록은 달러화 강세와 엔화 약세가 일본의 인플레이션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를 언급했다.
11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29.49포인트(1.15%) 하락한 2531.66으로 마감했다. 트럼프 기대감으로 호황을 누리는 미국과 달리 국내 증시는 정반대의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11일 기준 신저가 종목 수는 105개로, 10월 말 44개에서 2배 이상 증가했다. 국내 증시 소외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금융투자소득세 폐지에도 반등의 동력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는 상황이다.
한지영·이성훈 키움증권 연구원은 "국내 3분기 실적시즌 실망감, 특정 업종 내 유상증자 이슈 등이 맞물리면서 주가와 거래대금의 활성화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며 "트럼프 당선이 국내 증시에 큰 호재가 되지 못할 것이라는 불안감이 지배적"이라고 했다. 또한 "비트코인, 도지코인 등 가상자산 급등이 국내 증시의 수급 여건을 취약하게 만들고 있다"며 "수요일 미국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이벤트, 국내 이익 및 수출 모멘텀 둔화 등 여타 과제들은 계속 풀어나가야 하지만, 테슬라와 비트코인 등 대장 수혜주를 제외한 그 외 트럼프 트레이드가 소강 되는 과정에서 대선 이슈가 만들어낸 국내 증시의 부정적인 분위기는 환기시킬 수 있을 전망"이라고 했다.
오유교 기자 562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