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4 (목)

1000만원대 전기차 공습…비야디 승용차 내년 한국 온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내 차시장 지각변동 예고



중앙일보

중국 비야디(BYD)가 국내 승용차 출시를 공식화했다. 사진은 지난 2일 태국 에서 열린 BYD의 프리미엄 브랜드 ‘덴자(DENZA)’ 출시 행사. [신화=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값싼 전기차’로 글로벌 자동차 시장을 공략하고 있는 중국 비야디(BYD)가 국내 시장에 승용차 출시를 공식화했다. 글로벌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과 잇따른 화재사고 등으로 국내 전기차 시장이 위축된 상황에서 BYD가 도전장을 내민 것이다.

BYD코리아는 13일 보도자료를 내고 승용차 브랜드의 국내 출시를 공식화한다고 밝혔다. BYD는 “지난 수개월간 승용차 브랜드의 사업성 검토를 다각도로 진행해 왔다”며 “2025년 초를 목표로 BYD 브랜드의 국내 공식 출범을 위한 준비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 BYD는 승용차 판매·서비스를 위한 지역별 네트워크 구축, 인력 채용, 차량 인증, 마케팅 계획 수립 등을 진행 중이다.

중앙일보

신재민 기자


올해 초엔 조인철 전 BMW 미니코리아 총괄본부장을 BYD코리아 승용사업부문 대표로 영입하기도 했다. 조 대표는 “글로벌 성공 경험과 함께 뛰어난 기술력으로 한국 소비자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브랜드가 되기 위해 착실히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1995년 배터리 제조사로 설립된 BYD는 모토로라·노키아 등에 휴대폰 배터리와 부품을 공급하며 성장해왔다. 2003년 중국 국유기업이던 시안 진촨자동차를 인수하면서 차량 제조업에도 진출한다. BYD의 성장동력이 휴대폰에서 자동차로 옮겨간 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재충전용 배터리 시장이 위축되면서다.

중앙일보

신재민 기자


현재 BYD의 사업분야는 차량·경전철·재생에너지·전자 등 크게 4개 분야로 나뉜다. 2016년 BYD코리아를 설립하며 국내 시장에 진출했고, B2B(기업 간 거래) 위주인 상용차시장에서 전기지게차·전기버스·전기트럭 등을 판매해왔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전기버스 등록 대수는 2815대인데, 이 중 54%(1522대)가 중국산이다. 업계는 중국산 전기버스 절반 이상이 BYD 제품인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다 보니 BYD의 승용차 시장 진출은 시간문제라는 전망이 나왔다. BYD는 지난 7~9월 한국 특허청에 ‘씨라이언’ ‘씰’ ‘아토3 업’ 등의 상표권을 출원(심사를 받기 위해 신청서를 제출하는 것)하기도 했다.

중앙일보

신재민 기자


2019년 41만대 수준이던 BYD의 글로벌 차량 판매량은 지난해 302만대까지 늘었다. 5년 새 638.7% 성장한 것이다. 같은 기간 토요타와 현대차그룹의 판매량은 각각 4.57%, 1.47% 증가했다. BYD는 내재화된 배터리 기술과 탄탄한 밸류 체인 덕분에 ‘값싼 전기차’를 만들 수 있었고, 유럽·동남아·남미 등으로 판매 영토를 확장해왔다. ‘전기차 왕좌’를 두고 테슬라와 경쟁하고 있는 BYD는 올 3분기 처음으로 매출액에서 테슬라를 앞지르기도 했다.

내년 국내에서 BYD 승용차 판매가 시작될 경우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BYD의 소형전기차 시걸(Seagull)의 중국 내 최저가는 6만9800위안(약 1356만원)부터 시작한다. 국내 최저가 전기차인 기아 ‘레이EV’는 2735만원부터, 현대차 캐스퍼일렉트릭은 2740만원부터 시작한다. 물류비용 등을 고려하더라도 더 경쟁력 있는 가격이다.

전문가들은 중국발 국내 완성차업계의 구조조정을 우려한다. 이항구 자동차융합기술원 원장은 “한국 정부 입장에선 유럽·미국처럼 추가관세를 부과하거나, 비관세 장벽을 세우기도 어려운 상황”이라며 “BYD의 마케팅 전략에 따라 국내 전기차 시장의 판도가 바뀔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다.

고석현 기자 ko.sukhyun@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