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6 (토)

내년엔 '무역전쟁 2.0'? 중국이 택할 수 있는 4가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트럼프 당선으로 가장 긴장하는 국가는 어딜까. 당연히 중국이다. 2018년 트럼프가 2500억달러어치 중국산 제품에 대해 25% 관세부과를 선언하며 무역전쟁을 일으킨 기억이 생생하기 때문이다. 당선인은 대중 강경파인 마코 루비오 상원의원을 국무장관에, 마이크 왈츠 하원의원을 국가안보보좌관에 내정했을 뿐 아니라, 중국산 제품에 대한 6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중국을 위협하고 있다.

머니투데이

지난 2019년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하고 있다. /오사카(일본)AP=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의 고민은 지난해 대미 교역에서 2791억달러(미국 통계)에 달하는 무역흑자를 누린 상황이어서 직접적인 무역 보복을 해도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데 있다.

그런데 중국이 미국과의 새로운 무역전쟁에 대비해 다른 쪽에서 힘을 비축하고 있으며 최대한의 보복 조치를 취할 경우 글로벌 경제에도 상당한 피해를 줄 수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14일(현지시간) 짚었다. 왕원 중국인민대학교 충양금융연구원장도 "단순한 무역 전쟁과 상호 대응으로는 향후 중국과 미국의 차이를 적절히 해결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무역 전쟁이 미중 간의 전방위적인 보복으로 격화될 수 있다는 얘기다.


중국의 미 국채 매도

머니투데이

중국의 미국채 및 주식 보유 추이/그래픽=윤선정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이 취할 수 있는 가장 파괴적인 대응조치는 보유 중인 미국 국채의 대량 투매다. 지난 8월 기준 중국은 7746억달러어치의 미 국채를 보유하고 있다. 중국이 미 국채를 대량 매각하면 미 국채 금리가 급등하고, 이는 미국 정부의 이자 부담 급증으로 연결될 뿐 아니라 글로벌 금융시장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017년 이후 중국은 미 국채 보유규모를 3분의 1 이상 축소해왔다. 자산 다각화를 위한 목적이 강하지만,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국가들이 해외 은행에 예치된 러시아 중앙은행의 외화자산을 동결하는 걸 목격한 것도 중국의 미 국채 축소에 영향을 미쳤다.

블룸버그는 중국의 미 국채 보유규모 감소 중 일부는 중국이 수탁은행을 벨기에로 옮긴 영향이라고 전했다. 2022년 이후 중국의 미 국채 보유규모가 감소한 동안 벨기에의 미 국채 보유규모는 증가세를 지속했다.

중국이 미 국채를 대량 투매하는 보복 조치는 리스크가 따르는데, 이 경우 미 국채 가격이 급락하면서 중국이 보유한 국채 가치도 추락하면서 3조2610억달러에 달하는 중국 외환보유고 가치까지 하락할 수 있다는 점이다.


위안화 약세

머니투데이

달러당 위안화 환율 추이/그래픽=김지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위안화 가치 하락은 중국 수출 기업의 경쟁력을 높임으로써 이들이 잠재적인 관세의 영향에 대응하도록 도울 수 있다. 로빈 싱 모간스탠리 이코노미스트는 "미중 무역전쟁 발발 후 2018~2019년 2년간 위안화 가치가 달러에 비해 11.5% 절하(환율 상승)되며 관세 인상의 약 3분의 2를 상쇄하는 효과를 낳았다"고 분석했다.

블룸버그 설문조사에 따르면 절반 이상의 이코노미스트가 중국이 위안화 가치를 하락시켜 트럼프의 잠재적인 관세에 대응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하지만 현재 이코노미스트들은 2025년 위안화 환율을 최소 7.3위안에서 최대 8위안으로 제시하는 등 평가절하 폭에 대한 전망은 엇갈렸다. 15일 기준 위안화 환율은 달러당 7.23위안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위안화 평가 절하의 리스크는 위안화 약세로 중국의 무역흑자가 급증함으로써 무역 상대국을 자극해 상대국이 무역불균형을 개선하기 위해 관세를 도입할 수 있다는 데 있다. 또 위안화 약세는 중국 내 해외자본 유출을 자극하고 외국인 투자를 감소시킬 수 있다.

머니투데이

/AFPBBNews=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핵심 광물 수출 통제

지난해 중국은 반도체 제조와 통신, 방위 장비에 널리 사용되는 갈륨·게르마늄의 해외수출을 제한했다. 이는 대중국 제재를 폐지하도록 미국을 압박하기 위한 중국의 시도로 해석되고 있다.

미국이 중국의 첨단반도체 접근을 제한하기 하기 위한 제재를 추가하자, 중국은 배터리 소재인 흑연의 해외 수출도 제한했다. 또 중국은 올해 8월에는 배터리와 반도체에 쓰이는 희귀금속 안티몬에 대한 수출 통제에 나섰다.

중국이 공급을 주도하는 희토류와 같은 주요 광물에 대한 수출 통제는 최소한 단기적으로는 미국이 첨단 기술을 만드는 데 필요한 원재료 조달에 어려움을 겪게 만들 전망이다. 중국은 핵심 광물의 주요 생산국이기 때문에 수출을 통제할 수 있는 광물 종류가 다양하다.

이 경우 리스크는 무역 상대국이 중국을 더 이상 신뢰할 수 있는 공급자로 보지 않고 대체 공급업체를 찾으면서 중국을 제외한 공급망 구축이 가속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미국 기업 제재

2018년 미중 무역전쟁 이후 중국은 자국의 발전을 저해하는 기업·개인을 제재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명단', '반외국제재법'을 도입했다. 자산을 압류당하거나 사업거래를 차단당할 수 있다는 가능성은 매년 수백억 달러의 매출이 중국에서 발생하는 애플, 테슬라,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기업에게는 상당한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난해 미국 최대 메모리제조업체인 마이크론 제품에 대한 중국의 사이버 보안 검토는 기업들이 미중 갈등 국면에 휘말릴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 지난 9월에는 중국 정부가 타미힐피거와 캘빈클라인의 모기업인 PVH가 신장 자치구 면화 구매를 중단했다는 이유로 조사를 개시했다고 밝힌 적도 있다. 미국은 강제노동 등 인권 침해를 이유로 신장산 면화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다만 기업 제재에는 미국도 중국 기업을 표적으로 보복할 수 있다는 리스크가 따른다.

김재현 전문위원 zorba00@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