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7 (일)

“미워도 다시 한 번”…공사비 속 끓어도 믿을건 재건축·재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 도시정비사업 추진 총 419곳, 반년 전比 7곳↑
조합 사업 추진 서두르고 있지만,
입찰참여 조건 강화와 낮은 사업성 변수


매일경제

서울의 한 재건축 건설현장 모습 [이승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금리 장기화와 공사비 인상 여파로 서울의 재건축·재개발 사업지들까지 시공사 선정에 진땀을 빼는 모습이다. 개발·재건축조합의 시공사 선정 과정에서 내로라하는 대형 건설사들이 아예 입찰에 참여조차 못하는 웃지 못할 상황도 잇따르고 있다.

그럼에도 최근 반년 새 서울 내 도시정비사업장이 늘고, 조합설립 인가 이후 받는 ‘건축심의’ 문턱을 넘어선 사업장도 50여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와 지자체의 규제 완화 기조에 힘입어 본격적으로 사업에 나서거나 속도를 내는 곳이 늘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16일 서울시 정비사업 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도시정비사업을 추진하는 사업장은 총 419곳으로, 반년 전보다 7곳 늘었다. 가로주택정비사업 등 서울 내에서만 시행하는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은 통계에서 포함되지 않았다.

다만 7곳이 순증한 것은 아니다. 새롭게 구역 지정이 된 곳을 비롯해 사업 재개·구역 편입 등 다양한 이유로 총 22곳의 사업장이 늘었다. 지난 4월 재건축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서초구 반포동 ‘반포미도1차’, 재개발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서대문구 냉천동 ‘충현2구역’ 등이다.

반면 준공 완료하거나 사업이 중단돼 명단에서 빠진 곳은 총 15곳이다. 강동구 길동 ‘신동아 1·2차 재건축’, 서초구 ‘신반포 15차 재건축’, 송파구 문정동 136번지 일원 재건축 등은 사업이 완료됐다. 임대주택 비율 등으로 주민 갈등이 빚어졌던 서초구 방배동 ‘임광 1·2차’는 정비구역이 해제되며 재건축 사업이 멈췄다.

사업추진 단계별로 보면 9월 말 기준 조합 설립 인가 문턱을 넘은 사업장은 260곳이다. 다만 새로운 사업장이 늘고 준공 완료 사업장은 명단에서 빠지며 반년 전(268곳)보다는 8곳 줄었다.

반면, 건축심의를 통과한 사업장은 지난 3월 말 기준 132곳에서 9월 말 기준 183곳으로 무려 51곳이나 증가했다. 건축심의는 지역적 특성과 도시환경을 건축계획에 반영시켜 도시 미관과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한 절차다. 가장 까다로운 단계이자 재건축 재개발 사업의 ‘5부 능선’으로 여겨진다.

같은 기간 최초 사업시행인가를 받은 사업장은 184곳에서 183곳, 최초 관리처분계획 인가를 받은 사업장도 124곳으로 123곳으로 1곳씩 줄었다. 준공 사업장이 명단에서 빠지며 이주 및 착공 사업장 수는 줄었다. 이주를 시작한 사업장은 77곳에서 64곳, 이주가 종료된 곳은 55곳에서 48곳으로 감소했다. 착공한 사업장은 68곳에서 64곳으로 줄었다.

한 강남권 재건축 조합 관계자는 “조합원들 사이에서 시정 기조가 바뀌면 또 언제 사업 속도를 낼 수 있을지 모른다는 인식이 많다”면서 “소유주들 사이에서도 양보할 것은 양보하더라도 최대한 빠르게 추진하자는 분위기가 많다”고 말했다.

다만, 최근 공사 입찰참여 조건 강화 움직임이 다른 재개발·재건축조합으로도 확산될 분위기여서 앞으로 업체 간 희비가 크게 엇갈릴 것으로 전망된다. 또 건설사 입장에서 그동안 자잿값과 인건비 상승세가 가파르고 고금리 현상도 장기화하면서 정비사업에 불리한 여건이 조성된 점은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서울 주요 사업장에서도 공사비 갈등이 계속 생겨나다 보니 시공사 선정 과정부터 이러한 리스크를 신중하게 고려하고 있다”며 “애초 수주 가능성이 작거나 영업비 등의 출혈이 커 보이는 사업장은 과감하게 포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금리가 낮아지고 있더라도 이전에 비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고, 공사비 역시 큰 폭의 하락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건설경기가 금방 나아질 가능성은 작고 오히려 침체기가 오랫동안 계속될 것이란 우려도 적지 않다”고 덧붙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