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새 12.5%P 늘어
자발적 비혼모로 아들을 낳아 키우고 있는 방송인 사유리./인스타그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0대 청년 5명 중 2명은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낳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년 전에 비해 ‘비혼 출산’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뀐 것인데, 실제로 비혼 출생아의 비중도 늘고 있다.
17일 통계청 ‘2024년 사회조사’와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20∼29세 중 42.8%가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고 응답했다.
2014년 30.3%가 ‘비혼 출산’에 긍정적인 답변을 한 것과 비교하면 12.5%포인트(P) 증가한 수치다. 반대한다는 응답은 2014년 34.9%에서 올해 22.2%로 줄었다.
성별로 보면 20대 남성 43.1%, 20대 여성 42.4%가 결혼하지 않고도 아이를 가질 수 있다고 답해 차이가 별로 없었다. 전적으로 동의한다는 응답은 남성(12.6%)보다 여성(15.9%)이 더 높았다.
반면 20대 중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 또는 ‘하는 것이 좋다’고 답한 비율은 2014년 51.2%에서 2024년 39.7%로 감소했다.
결혼을 해야 한다는 인식은 옅어졌지만 비혼 출산에는 더 개방된 것으로 풀이된다.
‘결혼하면 자녀를 가져야 한다’는 항목에는 51.3%의 20대가 동의한다고 답했다. 관련 항목 조사가 처음 시작된 2018년 51.5%였던 것과 비교해 거의 변화가 없었다.
이상적인 자녀 수가 몇 명이냐는 질문에는 60.4%가 ‘2명’이라고 답했고, ‘1명’이라는 답은 30.2%였다. ‘0명’이라는 응답은 5.2%에 불과했다.
비혼 출산에 대한 청년층의 인식 변화는 실제 출산율 통계에도 반영돼 나타났다.
지난해 출생통계에서 혼인 외의 출생아는 1만900명으로, 전체 출생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7%였다. 이는 1981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대치였다. 혼인 외 출생아는 2020년 6900명, 2021년 7700명, 2022년 9800명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앞서 일본 출신 방송인 사유리는 정자은행을 통해 서양 남성의 정자를 기증받아 2020년 11월 아들을 출산했다. 사유리가 방송을 통해 비혼출산으로 낳은 아이를 육아하는 모습을 공개하자 온라인상에서는 ‘비혼 출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도 했다.
이와 관련 사유리는 한 방송에서 “나처럼 아기를 낳고 싶다는 사람들이 있는데 나는 최대한 하지 말라고 한다. 이게 멋있는 일이 아니다. 결혼하고 아빠가 있는 게 가장 좋은 일이다. 이게 유행처럼 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비혼출산에 대한 솔직한 생각을 밝히기도 했다.
이처럼 비혼 출산에 대한 인식이 빠르게 변했지만 여전히 제도적 지원은 미흡하다. 특히 대부분 출산·양육 지원 정책이 ‘결혼한 부부’ 중심으로 설계돼 비혼 출산 아이들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비혼 출산에 대한 제도적 지원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저출산 문제의 해법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
김영철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는 앞서 발표한 ‘인구정책으로서의 비혼 출산’ 연구에서 “만약 한국 OECD 평균 수준의 혼외 출생률을 보인다면 합계출산율은 1.55명까지 올라갈 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자아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