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민희 "비명 움직이면 당원과 함께 죽일 것"…민주 "당 입장 아냐"
이해식, '신의 종' 페북 글…논란 불거지자 "명상록 글귀 인용" 해명
與 "최민희, 친명 완장 차고 극언"…이해식에 "이재명 신격화 멈춰야"
발언하는 최민희 위원장 |
(서울=연합뉴스) 임형섭 안채원 안정훈 기자 = 더불어민주당 최민희 의원이 최근 이재명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1심 선고 이후 당내 비명(비이재명)계 움직임이 활발해진다는 관측과 관련해 "(움직이면) 제가 당원과 함께 죽일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민주당 지도부는 18일 해당 발언을 두고 "당 차원의 입장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앞서 최 의원은 지난 16일 서울 도심에서 열린 '김건희 윤석열 국정농단 규탄·특검 촉구 제3차 국민 행동의 날' 집회에 참석, 현장에서 '오마이TV'와 인터뷰를 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최 의원은 '향후 재판을 어떻게 전망하느냐'는 질문에 "핵심은 민주당이 분열하느냐 아니냐다"라며 "숨죽이고 있던 민주당 내 분열 세력이 준동하느냐 안 하느냐에 따라 이 국면이 돌파될지 아니면 민주당이 사분오열될지가 결정될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이미 일부 언론이 '민주당에 숨죽이던 비명계가 움직이기 시작했다'"는 보도를 한다면서 "움직이면 죽는다. 제가 당원과 함께 죽일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비명계 낙선자 중심 원외 모임 '초일회'는 다음 달 1일 김부겸 전 총리를 초청해 '미국 대선 평가와 한미관계 및 국제 정세 전망'을 주제로 특강을 열기로 하는 등 비명계의 움직임이 활발해지는 상황이다.
황정아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최 의원 발언이 과격하다는 지적이 나오는데 지도부에서 논의된 바가 있나'라는 질문이 나오자 "의원들의 개인적 의견이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각자 소신대로 발언할 수 있다"며 "(최 의원의 발언은) 당 차원의 입장은 아니라는 점을 말씀드린다"고 밝혔다.
질의하는 이해식 의원 |
민주당 이해식 당대표 비서실장의 페이스북 글도 논란이 됐다.
이 비서실장은 전날 이 대표가 빗속에서 연설하는 사진을 올리며 "더 훌륭한 인간이 되고자 노력을 기울이는 이러한 사람이야말로 신의 사제요, 종이다"라고 적었다.
이 비서실장은 해당 글이 이 대표를 과도하게 엄호한다는 논란이 제기되자 페이스북에 "이재명 대표를 '신의 사제, 신의 종'이라고 말한 적이 없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 글귀를 인용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로마 16대 황제이자 스토아학파 철학자이다. 스토아 철학에 있어서 신은 범신론적"이라며 "오늘날의 기독교적 신도, 주술적 신도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국민의힘은 최 의원의 발언을 강력히 비판했다.
신주호 상근부대변인은 최 의원 발언을 두고 "아무리 이 대표 선고로 충격이 크다고 한들, 어찌 이토록 무도한 극언을 거리낌 없이 내뱉을 수 있단 말인가"라며 "'친명 완장'을 차고 홍위병 노릇만 자행한다"고 비난했다.
김용태 의원은 페이스북에 "이 대표가 확정 판결받을 때를 대비해서 친명(친이재명)계의 당 지배 체제를 확고히 하려는 포석으로 읽힌다"고 지적했다.
그는 "확정판결 시 국회의원직을 내려놓겠다는 '순명조(순장조) 찐명'은 사실 없을 것이다. 그저 악에 받쳐 쌓아 올린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다른 계파를 '죽이겠다'는 허망한 호통만 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김장겸 의원은 전날 페이스북에 최 의원 발언을 공유하며 "이재명 대표 주변 인사들이 이미 많이 돌아가셨는데… 몇 명이나 더?"라고 적었다.
정혜림 상근부대변인은 논평에서 이해식 의원의 '신의 사제' 글과 관련해 "민주당의 충성 경쟁은 뻔뻔함을 넘어 참담할 지경"이라며 "국민이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이재명 신격화'를 멈추고 사법부의 판단을 존중하는 태도를 가져라"고 비판했다.
hysup@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