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교과서는 서책형 교과서와 달리 틀린 문제의 정답을 학생이 바로 알 수 있는 탓에 시간을 들이며 사고력을 키울 여지가 오히려 줄었다고 일선 교사들은 지적했다. 학생들이 교사 몰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접속하는 등 집중력이 떨어지는 모습도 관찰됐다. 디지털 교과서가 자칫 아동의 디지털 과의존을 심화할 수 있다는 학부모의 불안이 근거가 없지 않은 것이다. 기존엔 없던 교수 방식을 도입하는데도 준비가 충분치 않다는 지적도 끊이지 않는다. 실제로 현장 참관 결과 수업 혼란도 적지 않았다. 사용된 디지털 기기가 중간중간 먹통이 됐고 학생들이 기기 사용법을 질문하는 통에 수업의 흐름이 여러 차례 끊기곤 했다는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는 최종 검정 결과가 이달 29일에나 발표되고 일선 학교엔 다음 달이 돼야 배포될 것으로 전망된다. 교사들이 실물을 검토하고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이 석 달도 채 없는 셈이다. 교육부는 올해 ‘선도 교사’ 1만2000여 명을 선발해 관련 교육을 했다지만 초등학교의 경우 어차피 담임 교사가 정해지지 않아 개학 직전 잠깐 교육을 받고 가르쳐야 할 상황이라고 한다. 디지털 교과서 도입 뒤에도 당분간 서책형 교과서가 병용되는데, 두 교과서를 어떻게 유기적으로 활용할 것인지도 확실치 않다.
교실에 디지털기기를 도입했던 스웨덴 등 북유럽 일부 국가도 문해력과 집중력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평가에 다시 종이책으로 회귀하는 추세다. 학교에선 스마트폰 등 디지털기기 사용을 아예 금지하는 나라도 늘고 있다. 교육 효과는 불확실하고 부작용 우려는 큰 디지털 교과서를 이토록 서둘러 도입해야 할 이유가 뭔가.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