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급성심장정지의 주요 위험 요인 가운데 하나인 수면무호흡증 환자가 최근 5년 새 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20일 연세대 원주산학협력단이 시행한 ‘심장정지 발생원인 및 위험 요인 규명 추적조사’ 결과를 공개하고 급성심장정지 예방을 위해 수면무호흡증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호흡이 반복적으로 멈추거나 불규칙해지는 상태로, 호흡이 일시적으로 중단되거나 얕아져 수면의 질을 저하한다. 수면무호흡증의 주요 증상으로는 수면 중 호흡 중단, 주간 졸림증, 집중력 저하, 코골이 등이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보면, 국내 수면무호흡증 발생 환자는 2018년 4만5067명에서 지난해 15만3802명으로 약 3배 증가했다. 특히 남성은 30~40대, 여성은 50~60대에서 수면무호흡증 발생률이 높았다.
수면무호흡증은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보면,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사람은 없는 사람보다 급성심장정지 발생 위험이 5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혈관질환이 없는 18~64살 연령층에서 급성심장정지 위험도는 76%까지 증가했다. 수면무호흡증의 위험성(위험비 2.33)은 급성심장정지의 주요 원인인 당뇨(위험비 4.10)나 고혈압(위험비 3.63)보다는 낮지만, 흡연(위험비 2.19)과 비만(위험비 1.02)보다는 높았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수면무호흡증은 단순한 수면 문제를 넘어서 급성심장정지의 위험을 높이는 주요 위험 요인”이라며 “위험성을 인식하고 진단 및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비만이나 흡연, 고혈압 등은 수면무호흡증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건강관리를 통해 급성심장정지를 예방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윤주 기자 kyj@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