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핵 공격 대상을 넓힌 러시아를 상대로 미국은 강대강 조치를 피하고 있다. 세계 양대 핵 강국인 러시아와 미국의 전면적 핵전쟁으로 인한 인류 파멸을 막기 위해서다. 다만 조 바이든 미 행정부는 차기 정부에서 급진전될 휴전 협상에 대비해 우크라이나 지원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1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이와 관련해 "미국 정부 관계자들은 러시아의 핵 교리 개정에 대해 '실체 없이 말만 요란한 핵 위협에 불과하다'면서 간신히 하품을 참을 정도 수준의 무관심한 반응을 보였다"고 보도했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는 성명에서 러시아의 핵 태세에는 변화가 없으며, 따라서 미국의 경계 수준도 변경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매슈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크렘린궁의 발언에 놀라지 않는다"며 "러시아의 호전적인 수사는 러시아의 안보를 개선하는 데 아무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역시 러시아가 새 핵 교리를 발표한 것에 대해 "무력 위협에 굴복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안드리 시비하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은 이날 미국 의회에서 열린 유럽안보협력회의(CSCE) 행사에서 "러시아가 핵무기 사용과 관련해 새롭게 내놓은 공개 수사(레토릭)는 협박일 뿐 그 이상은 전혀 아니다"고 말했다.
다만 내년 1월 퇴임을 앞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 자국이 지원한 에이태큼스(ATACMS) 미사일의 러시아 본토 공격 사용을 허용한 데 이어 대인지뢰를 제공하는 등 지금까지 자제하는 모습에서 탈피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대인지뢰 공급을 승인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당국자를 인용해 이날 전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2022년 6월 한반도 이외 지역에서 대인지뢰 사용을 전면 금지했다.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기존 정책까지 바꿔 가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책을 쏟아내는 바이든 행정부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 측은 불쾌한 기색을 드러내고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국가안보보좌관으로 지명된 마이클 왈츠 하원의원은 폭스뉴스에 "상황 악화로 가는 사다리에 또 한 계단 더 올라간 것"이라며 "일이 어디로 향할지 아무도 모른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과 트럼프 당선인 간 우크라이나 정책에 대한 견해 차이가 큰 상황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미국과 우크라이나 간 단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트럼프 당선인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영향을 미쳐 전쟁을 끝낼 수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그리 간단하지 않다"면서도 "미국이 가진 모든 것을 사용한다면 (트럼프가) 그렇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그(트럼프)가 푸틴보다 훨씬 강하고 미국이 더 강력하다"고 말했다.
러시아는 핵폭발로 인한 방사능 등 다양한 위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이동식 방공시설인 'KUB-M' 양산에 들어갔다.
이날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비상사태부 산하 연구소는 생산 사실을 공개하면서 KUB-M이 핵폭발로 인한 충격파와 방사능은 물론 재래식 무기로 인한 폭발과 잔해, 화재, 자연재해 등 위험으로부터 48시간 동안 사람들을 보호할 수 있다고 밝혔다. 미국과학자연맹(FAS)에 따르면 현재 9개국이 약 1만2121개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미국과 러시아가 88%를 갖고 있다.
전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미국과 러시아 수뇌부의 핫라인이 사용되지 않고 있다고 크렘린궁이 20일 밝혔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특별 비상 핫라인이 여전히 작동하고 있느냐는 타스통신의 질문에 "아니요"라고 답했다. 이 핫라인은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를 계기로 옛 소련과 미국 지도자의 긴급 연락을 위해 개설된 것으로 1963년 8월 30일부터 운용돼왔다.
전쟁의 공포가 전선에서 멀리 떨어진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키이우에 있는 미국대사관은 20일 "오늘 대규모 공습 가능성이 있다는 구체적인 정보를 받았다"면서 "대사관은 폐쇄되며, 대사관 직원들은 대피소에 대기할 것을 지시받았다"고 밝혔다.
[김덕식 기자 / 김제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