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같은 날, 대통령은 우리 경제가 활력을 찾았다고 한 반면, 대통령실에선 추경 이야기가 흘러나왔습니다. 무슨 일인지, 경제부 공다솜 기자에게 물어보겠습니다.
공 기자, 윤석열 정부는 '건전 재정' 기조를 내세워오지 않았나요? 왜 추경 얘기가 흘러나온 거죠?
[기자]
윤석열 정부는 출범할 때부터 문재인 정부의 확장 재정을 끝내고 건전 재정을 실현하겠다고 공언해왔습니다.
[제37회 국무회의 (지난 8월 27일) : 재정 지출의 효율성을 높여야 합니다. 건전 재정은 우리 정부가 세 번의 예산안을 편성하면서 지켜온 재정의 대원칙입니다.]]
세수가 부족한 데다 내수 침체까지 길어진 올해에도 정부가 "인위적 추경은 없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밝힌 배경이기도 합니다.
실제 현 정부가 추경을 집행한 건 2022년 5월, 코로나 때가 유일합니다.
[앵커]
그렇지 않으면 깜짝 추경 얘기가 나오지 않았을 것도 같습니다. 그런데 여당이나 기재부는 추경에 대해 굉장히 선을 긋는 모습이던데요?
[기자]
기재부는 곧바로 '내년 추경 예산 편성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는 입장을 냈습니다.
대통령실과는 합의된 입장이라고 거듭 밝히긴 했는데요.
국민의힘 역시 '어떤 협의 요청도 없었고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앵커]
그런데 안 그러길 바라지만 경기가 정말 나빠져서 추경을 해야 할 상황이 올 수도 있잖아요. 여력은 됩니까.
[기자]
이미 2년 연속 대규모 세수 펑크에 곳간은 비어있습니다.
남은 방법은 국채를 찍어내는 것 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이미 내년에도 201조원대, 사상 최대 규모의 국채 발행이 예정돼 있습니다.
2021년부터 꾸준히 줄어오다 4년 만에 증가세입니다.
여기서 국채를 더 찍어내는 건 나라 빚을 더 안 늘리겠다는 정부 기존 입장과도 배치됩니다.
[최상목/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지난 10월 28일 / 경제관계장관회의) : 정부는 추가 국채 발행 없이 가용 재원을 활용하여 금년도 세출 예산을 최대한 차질 없이 집행하겠습니다.]
현재 여당은 나라 빚을 일정 수준 이상 넘지 않게 관리하는 재정 준칙 법제화를 추진하고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추경은 쉽지 않은 선택이 될 걸로 보입니다.
◆ 관련 기사
윤 대통령 "경제 활력" "견고한 성장률"…현실 인식 괴리
→ 기사 바로가기 : https://news.jtbc.co.kr/article/NB12224229
◆ 관련 기사
대통령실발 '추경론' 놓고 삐걱…여당·기재부 "검토하지 않아"
→ 기사 바로가기 : https://news.jtbc.co.kr/article/NB12224227
공다솜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