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첨단산업 필수인프라 세미나’ 개최
여야 및 삼성·SK·현대차·LG·롯데 등 참석
“첨단산업 필수 인프라 관련 정부 지원 시급”
“반도체특별법 통과 등 대승적 결단 내려야”
여야 및 삼성·SK·현대차·LG·롯데 등 참석
“첨단산업 필수 인프라 관련 정부 지원 시급”
“반도체특별법 통과 등 대승적 결단 내려야”
|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반도체, 인공지능(AI) 등 첨단산업을 두고 세계 각국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국내 첨단산업을 뒷받침할 전력, 용수, 도로와 같은 필수 인프라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전문가들은 필수 인프라 구축이 늦어지면 첨단산업 발전의 골든타임을 잃을 수 있다고 경고한다. 정부와 국회가 신속하고 과감한 정책과 입법을 통해 인프라 구축을 주도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대한상공회의소가 26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의원 연구단체 ‘미래 국토인프라 혁신포럼’과 공동 개최한 ‘첨단산업 필수인프라 세미나’에서 경제인과 산·학·연 전문가는 국가 주도의 첨단산업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는 데 한목소리를 냈다. 개별 기업이 막대한 전력·용수 조달 비용 등을 감당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시간도 많이 소요돼 시장 선점의 기회를 놓칠 수 있다는 것이다.
조홍종 단국대 교수는 주제발표에서 “국내 첨단산업 기술이 뛰어나긴 하나 최고 기술국인 미국 대비 88%로 유럽·일본보다 뒤지고 최고기술 보유 분야도 미래형 디스플레이 하나뿐”이라며 “첨단산업 경쟁력을 더 끌어올리려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인프라 구축이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내 첨단기업이 받는 용수보조금은 전체 투자금 대비 2~3% 수준이고 인프라 보조금 지원 횟수도 1회 원칙이라 기업이 인프라 구축비용의 상당 부분을 감당해야 한다”며 “국가가 적극 나서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는 주요 경쟁국에 비해 지원제도가 미흡한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조 교수는 “첨단산업 인프라 정책을 국가전략 관점에서 고민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인프라 지원을 위한 컨트롤타워 설치, 인프라 구축에 대한 정부 책임 의무화, 지원의 인프라 종합관리 시스템 도입 등의 정책을 신속하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토론에서도 첨단산업 인프라 구축에 국가 역량을 쏟아야 한다는 의견이 이어졌다.
박종배 건국대 교수는 “전 세계는 AI 산업 활성화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안정적 전력 확보에 국가적 역량을 쏟는 소위 전자생존(電子生存)의 시대에 돌입했다”면서 “우리나라는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전력공급에 필수적인 송전망 인프라가 지역주민, 지자체, 규제 등으로 66개월에서 최대 150개월까지 지연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가 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의 조속한 제정과 인근지역 발전소 건설을 동시 추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조영무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용인반도체클러스터의 공업용수 수요량은 1일 최소 170만㎥지만 현재 공급 가능한 수자원량은 77만㎥ 정도”라며 “안정적인 용수 공급을 위해 기존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되 부족 시 신규 댐을 건설해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
배터리 폐수처리와 관련해 한대호 한국환경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이차전지 제조·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환경적·경제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은 산업경쟁력의 중요한 요소”라며 “현행 물환경보전법상 사업장 방지시설에 대한 직접 지원 근거가 마련돼 있지 않으므로 기업이 적극적으로 환경 개선을 하는 경우 지원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성걸 한국토지주택공사(LH) 용인반도체국가산단사업단 팀장은 “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고 도로 등의 인프라를 구축할 때 기업이 원하는 입지에 충분한 지원을 받아 입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기업이 첨단산업단지 계획을 수립할 때 산업특성 반영을 제안하고 논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기반시설 구축에 충분한 지원이 가능하도록 관련 제도를 운영해야 한다”고 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국민의힘 강대식 의원, 더불어민주당 김영진·손명수·염태영·홍기원 의원과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 최승훈 삼성전자 부사장, 정상록 SK하이닉스 부사장, 김동욱 현대차 부사장, 박준성 LG 부사장, 임성복 롯데 전무, 이준명 한화 건설부문 인프라사업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박일준 상근부회장은 “전기·용수·도로 등의 인프라 구축이 지연되면 글로벌 시장에서의 적시성을 상실해 선승독식 구조의 첨단산업에서 크게 뒤처질 수 있다”며 “국가 경제의 백년대계와 미래 세대의 명운을 위해 반도체 특별법 통과 등 국가적으로 대승적 결단을 내려야 할 때”라고 힘줘 말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