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30 (토)

[단독] 농협은행 희망퇴직 신청...'5대 시중은행' 희망퇴직 본격 시동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서울 시내 시중은행 ATM 기기를 이용하는 시민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NH농협은행이 희망퇴직 신청을 받으면서 은행권의 희망퇴직 시즌이 시작됐다. 다른 은행들도 내년 초 희망퇴직을 앞두고 조건 등을 고심 중이다. 지난해 상생 금융 압박 등에 은행권의 퇴직금 조건이 일제히 후퇴된 가운데 올해에도 '눈치보기'가 계속될 전망이다.

은행권, 희망퇴직 신호탄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농협은행은 지난 18~21일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대상자는 전 직급 10년 이상 근무자 가운데 만 40~56세까지다. 특별퇴직금으로는 지난해와 같이 56세 직원에게 28개월치 임금을, 일반직원에게는 차등 없이 최대 20개월 치 임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지난해 농협은행은 희망퇴직 조건을 축소했지만 올해 재차 혜택을 늘리지 않고 지난해와 같은 수준으로 단행할 방침이다.

이에 올해 퇴직인원은 지난해와 비슷한 300~400명대 초반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희망퇴직 조건이 전년 대비 나빠지면서 퇴직인원은 372명으로 2022년(493명)에 비해 대폭 줄어든 바 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다른 시중은행들도 내년 초 희망퇴직 접수를 앞두고 노사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 연말이나 내년 초 인사 및 조직시즌에 맞춰 희망퇴직을 실시할 예정이다. 이르면 연내 조건과 규모 등이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

지방은행과 특수은행도 희망퇴직 시즌에 돌입한다. BNK부산은행은 다음달 초 퇴직 신청을 앞두고 조건 등을 논의하고 있다. sh수협은행은 이달 11~18일 신청을 받았고, 직원 51명이 접수했다. 56세 직원의 경우 평균 임금의 28개월분, 55세는 34개월분, 54세는 37개월분까지 지급키로 했다.

'돈 장사' 눈총에 규모·조건 두고 고심
은행권에 대한 이자장사 비판이 끊이질 않으면서 '역대급 이익'에도 퇴직금 산정에 고민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올해 3·4분기 5대 금융지주의 누적 당기순이익은 16조5805억원으로 역대 최대 기록을 썼다.

지난해에도 주요 은행들은 막대한 돈을 벌어들였지만 이자장사 눈초리에 일제히 희망퇴직 조건을 축소한 바 있다. 지난 8월 하반기 준정년 특별퇴직을 단행했던 하나은행은 연령에 따라 최대 24~28개월치 임금을 지급했다. 이에 앞서 연초에 진행했던 특별퇴직에서 최대 31개월치 임금을 준 것에 비해 대폭 축소한 것이다.

KB국민은행도 올해 초 희망퇴직을 단행하면서 조건을 크게 후퇴시켰다. 근무 기간 등에 따라 월평균 임금의 18∼31개월치를 지급하기로 하면서 1년 전(23∼35개월치)보다 4~5개월분을 줄였다. 신한은행(최대 36개월치→31개월치)과 우리은행(최대 36개월치→31개월치) 역시 퇴직금 조건을 하향 조정했다.

일각에서는 그간 은행들이 대규모 희망퇴직으로 비용을 통제했던 전략에 제동이 걸릴 수도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은행들은 그동안 1인당 수억원의 특별퇴직금을 지급하며 인력 감축 등 구조조정을 해왔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천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국내에서 영업 중인 14개 은행은 지난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희망퇴직자들에게 총 6조5422억원을 희망퇴직금 명목으로 지급했다. 이 기간 희망퇴직 직원은 1만6236명으로, 1인당 평균 4억294만원에 달하는 퇴직금을 받아 간 셈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권 전반적으로 상생이나 사회공헌 등이 이슈가 되고 있고, 희망퇴직금도 비판적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며 "희망퇴직은 은행 내부의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하는 취지가 맞지만 은행들 입장에서는 조건 등을 좋게 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zoom@fnnews.com 이주미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