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30 (토)

‘이재명 무죄’ 말 아끼는 대통령실…양극화 해소 챙기며 민생에 집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재명 선고 말 아낀 채 말레이·라트비아 정상회담과 연쇄 회동

양극화 타개책 검토 중…지지율 반등세 기대감도

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및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일정을 마치고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갈레앙 공군기지에서 귀국하며 인사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4.11.20/뉴스1 ⓒ News1 송원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한상희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정치 현안에서 한 발 물러서 외교·정책에 집중하고 있다. 대통령실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위증 교사 사건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이후 사흘째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정쟁에 거리를 두고 외교와 민생에서 성과를 내겠다는 대통령실의 전략으로 풀이된다.

27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번 주 외국 정상과 연이은 회담을 통해 외교적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25일에는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와 회담에서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수립하고, 국방·방산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오는 28일에는 에드가르스 린케비치스 라트비아 대통령과 마주앉을 예정이다. 윤 대통령은 회담에서 우크라이나 전쟁과 북러 군사 협력 등 주요 안보 현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사이버 안보와 바이오·제약 분야 협력 방안도 주요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은 김건희 여사 특검법과 여당 당원 게시판 논란으로 정치적 갈등이 고조된 상황에서 정치적 부담을 줄이고, 외교 성과를 통해 국정의 무게 중심을 민생으로 옮기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외교와 함께 민생 정책도 윤 대통령 국정 운영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잡고 있다. 대통령실은 '양극화 타개'를 임기 후반기 최우선 국정 과제로 삼고, 주거·일자리·자산 형성 등을 아우르는 종합 대책을 준비 중이다.

구체적으로 유·보(유치원·어린이집) 통합과 늘봄학교 확대를 통해 유아기부터 사교육 격차를 줄이는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대학에 진학하지 않아도 양질의 일자리를 얻을 수 있도록 고교 직업교육을 강화하는 안 역시 검토 중이다. 협약형 특성화 고등학교나 마이스터고를 확대하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청년층이 취업에 필요한 경력을 쌓을 기회를 제공하는 일 경험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신기술 도입에 따른 산업 구조 조정으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을 위한 재교육을 강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대통령실은 필요시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등 재정의 적극적인 역할도 검토하고 있다. 연초에 윤 대통령이 큰 틀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이후 각 부처가 세부 정책을 발표하는 방식으로 구체화할 계획이다.

국내 정치가 시끄러워질수록 외교나 정책 등 민생에만 집중하겠다는 대통령실의 태도를 보여주는 것으로 분석된다. 대통령실은 임기 후반기에는 정쟁 대신 인적 쇄신과 민생 정책에 몰두하겠다는 방침이다.

대통령실은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위증 교사 사건 1심 무죄 선고에 대해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가 감지되지만, 공식적으로는 말을 아끼고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5일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1심 선고 당시에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페루를 방문하며 국내 정치와는 거리를 뒀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대통령 지지율 반등세가 나타난 만큼, 정쟁에서 벗어나 민생에 집중하는 국정 운영 전략이 국민 신뢰를 회복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기대감이 읽힌다. 지난 21일 전국지표조사(NBS)에서 대통령 지지율은 8%포인트 급반등했고, 25일 리얼미터 조사에서도 2.0%p 상승하며 6주 만에 20%대 중반을 회복했다.

이를 위해 대통령실은 다음 달 초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현장 목소리를 듣고, 노쇼 문제를 포함한 지원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연초에는 취약계층 지원과 중산층 복원 관련 세부 정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angela0204@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