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8 (목)

[우보세] 베트남 성장의 이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우리가 보는 세상]

[편집자주] 뉴스현장에는 희로애락이 있습니다. 그 가운데 기사로 쓰기에 쉽지 않은 것도 있고, 곰곰이 생각해봐야 할 일도 많습니다. '우리가 보는 세상'(우보세)은 머니투데이 시니어 기자들이 속보 기사에서 자칫 놓치기 쉬운 '뉴스 속의 뉴스' '뉴스 속의 스토리'를 전하는 코너입니다.

머니투데이

베트남 국가혁신센터(NIC) 호아락 캠퍼스(왼쪽) 앞 진입로 주변. 정비되지 않은 인도가 눈길을 끈다./사진=지영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베트남은 급성장하고 있는 나라다. 국제통화기금(IMF)은 베트남 경제성장률을 지난 4월 5.1%에서 6.1%로 대폭 상향했다. 세계은행도 5.5%에서 6.1%로 높혀 잡았고, 홍콩상하이은행은 6.5%에서 7.0%로 상향했다. 아시아에서 중국을 뛰어넘는 성장세다.

이런 성장의 동력 중에는 한국의 대규모 투자도 있다. 10월말 기준 한국의 베트남 외국인 집접투자(FDI) 규모는 873억달러(약 122조원)로 1위다. 삼성전자 수출은 베트남 국내총생산(GDP)의 4분의 1을 차지할 만큼 독보적이다. 일찌감치 해외 주력시장을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환승한 유통사들도 성장의 과실을 나누고 있다. 특히 위기에 빠진 롯데그룹 조차 베트남에서만큼은 예외다. 롯데마트는 베트남에서 11분기 연속 매출과 영업이익이 증가했다.

여기에 K컨텐츠, K푸드의 인기까지 겹치면서 베트남은 내수시장 불황에 빠진 한국 소비재 기업까지 진출을 타진하는 기회의 땅이 됐다. 하이트진로가 첫번째 해외 공장을 베트남에 짓기 시작한 것이 그 예다. 대상과 팔도도 해외시장의 거점으로 베트남을 낙점하고 생산시설을 확대 중이다. 상황이 이렇자 중소기업계도 베트남과의 교류에 사활을 걸고 있다. 중소기업 대표 단체인 중소기업중앙회는 최근 베트남중소기업협회(VINA SME)와 투자협력포럼을 열고 기술교류와 합작투자를 확대하기로 했다.

매력적인 노동시장을 갖춘 베트남이지만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이 진출을 준비한다면 돌다리를 두드려 볼 필요가 있다. 한국인과 다른 그들만의 문화를 이해하지 못하면 예상치 못한 수업료를 지불할 수 있어서다. 중소기업은 해외에서 한 번 실패하면 재기하기 어렵다. 대표적인 것이 '띵깜문화'다. 띵깜은 우리말로 '정감'을 의미하지만 한국의 '정'과는 속성이 다르다. 눈앞의 이익을 우선하는 정이다. 출장을 다녀와서 기념품을 챙겨주는게 자녀 학비를 대주는 것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단 얘기다.

커미션 문화도 여전히 남아있다. 현지에서 공장을 운영하는 기업 대표들은 베트남은 "100% 되는 일도, 100% 안되는 일도 없다"고 경험담을 토로한다. 기준에 맞는 통관이 수개월간 영문도 모른채 묶였는데 세관 직원에 커미션을 쥐어주자 다음날 해결됐다고 이야기한다. 강대국과의 숱한 전쟁에서 승리한 국가다보니 자존심은 중국인에 뒤지지 않는다. 자신의 일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조직의 일이라 하더라도 방치하는 경우도 많다.

이들의 특성을 파악하면 기회가 되기도 한다. 일례로 '한사람이 아프면 부족 전체가 먹지 않는다'는 화동(和同)문화는 직원 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조직관리가 잘 이뤄지면 엄청난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주 방문한 베트남 국가혁신센터(NIC) 호아락 캠퍼스에서도 베트남 성장의 이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베트남 정부의 혁신성장 의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장소답게 건물은 화려했지만 주변 인도의 정비 상태는 지극히 불량했다. 주변 수변공원 곳곳에 쌓여있는 쓰레기도 목격할 수 있었다. 한국 기업이 베트남에 진출한다면 그들의 특성을 고려한 세심한 인력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해보이는 이유다.

머니투데이

베트남 국가혁신센터(NIC) 호아락 캠퍼스 수변공원 인근에는 곳곳에 쓰레기더미를 목격할 수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지영호 산업2부 차장




지영호 기자 tellme@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