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05 (목)

이슈 물가와 GDP

비싼 월세와 고물가에 지갑 닫은 '1인 가구'... "소비 회복 제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해 세 집 중 한 집은 1인 가구
코로나 충격에 평균소비성향 '뚝'
"청년 주거 안정, 고령층 빈곤 대책을"
한국일보

10월 29일 서울 강북구의 한 공인중개사 사무소에 전·월세 매물 전단이 붙어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 집 중 한 집 꼴로 많아진 1인 가구가 지갑을 닫으면서 전체 소비 회복을 제약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3일 한국은행 조사국이 발표한 ‘최근 1인 가구 확산의 경제적 영향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 비중은 35.5%로 가구원 수 기준 가장 컸다. 이전부터 꾸준히 늘어왔는데, 팬데믹 이후로 증가 속도가 더 빨라졌다. 연령별로는 고령층과 청년층의 혼자 사는 비율이 높았다. 60대 이상은 고령화, 20~30대는 만혼과 혼자 사는 것에 대한 선호 등으로 1인 가구가 늘었다는 것이 한은의 판단이다.

지난해 전체 소비 지출의 20%를 차지하는 등 자연스레 1인 가구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도 커졌다. 문제는 이들의 소득, 자산, 고용 상황이 다인 가구보다 취약하다는 점이다. 가구원 수 효과를 조정한 비교에서 지난해 1인 가구의 평균 소득(2,606만 원)은 전체 가구 평균(3,950만 원)보다 34%나 낮았다. 1인 가구 순자산은 1, 2분위 비중이 72%에 달해 대부분 하위 50% 내에 분포했다. 60세 이상 1인 가구에선 취업자 중 임시·일용직 비중이 52.3%에 달할 정도로 고용안정성이 떨어지고 소득은 낮았다. 청년층은 29세 이하 1인 가구의 64.1%가 월세로 사는 만큼 주거비 부담을 크게 느끼고 있었다.

한은은 팬데믹 이후 1인 가구의 소비가 크게 위축돼 국내 소비 회복에 부정적 영향을 줬다고 지적했다. 실제 2019년 대비 지난해 평균소비성향(가처분소득 대비 소비 지출) 변화를 비교했더니 1인 가구 감소율이 5.8%로 가장 컸고, 그다음 3인 가구(-4.3%), 2인 가구(-2.5%) 등 순으로 소비 위축 정도가 심했다. 소득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코로나19 이후 평균 소비 지출 흐름만 봐도 1인 가구의 소비는 다인 가구보다 부진했다.
한국일보

팬데믹 이후 가구원수별 평균소비성향 변화와 평균소비지출 추이. 한국은행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가뜩이나 경제 형편이 취약한 상황에서 팬데믹 충격을 추가로 맞닥뜨리면서 더욱 지갑을 열지 않게 된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월세 비용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1인 가구 소비 지출 품목 중 주거·수도·광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20.2%에 달하기 때문이다. 식품 등 생활물가 상승도 생활비 지출 비중이 큰 1인 가구 부담을 가중시켰다. 이 밖에 임시·일용직 취업자 수 감소, 다른 가구원과 충격에 공동 대응할 수 없다는 점 역시 1인 가구의 소비를 제약한 원인으로 지목됐다.

내수 기반을 튼튼하게 하려면 1인 가구의 주거·소득·고용 안정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결론이다. 보고서는 “연령대별로 청년층 1인 가구는 높은 주거비 해소, 고령층 1인 가구는 열악한 소득과 고용 문제를 해결하는 빈곤 대책이 우선”이라며 “저출생 대책과 상충하는 등 의도치 않은 결과를 초래하지 않도록 균형감 있게 대응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강유빈 기자 yubin@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