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이 선포된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 군인들이 진입한 가운데 본회의장으로의 군인 출입을 막기 위해 관계자들이 바리케이트를 치고 있다. 윤창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비상계엄이 아무런 협의도 없이 기습적으로 발동되자 상당수 시도지사들은 즉각 계엄에 반대한다는 목소리를 냈다. 여야 구분도 없었다.
일부 여당 쪽 지자체장들은 유보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4일 오후 국민의힘 시도지사들이 합동으로 계엄에 유감을 표명하고 윤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하며 입장을 정리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3일 밤 비상계엄이 선포된 직후 모든 시도지사들은 청사로 급히 복귀해 긴급 간부회의를 소집하고 대책을 논의하면서도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3일 서울 여의도 국회를 찾아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와 만나 인사말을 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가장 먼저 공식적으로 계엄반대 목소리를 낸 것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김동연 경기도지사였다. 3일 밤 11시 40분 쯤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에 "대한민국을 45년 전으로 돌린 폭거, 비상계엄 해제하라"는 글을 올렸다. 긴급 간부회의를 소집하고 행안부의 청사 폐지 요청에도 불응했다.
5.18의 상흔이 남아있는 광주에서는 강기정 시장이 긴급 간부회의를 소집한데 더해, 시민사회 대표, 종교단체 등과 함께 비상계엄 무효를 위한 연석회의까지 열고 윤 대통령을 규탄했다. 김영록 전남지사, 김관영 전북지사, 오영훈 제주지사도 잇따라 계엄령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냈다.
국민의힘 지자체장 가운데서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가장 먼저 계엄반대 입장을 냈다. 3일 밤 11시쯤 급히 서울시청 집무실에 도착한 오 시장은 행정1,2부시장과 정무부시장, 대변인 등 시장단을 소집해 회의한 직후인 4일 밤 0시 20분쯤 "계엄에 반대한다"는 입장문을 냈다.
오 시장은 "계엄에 반대한다. 계엄은 철회되어야 한다"며 "시장으로서 시민의 일상을 지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오 시장도 비상계엄에 대해 대통령실로부터 사전에 통보를 받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4일로 예정됐던 인도·말레이시아 출장도 취소했다.
오세훈 서울시장. 황진환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박형준 부산시장도 이날 새벽 입장문을 통해 "비상계엄은 즉각 철회되어야 한다…어떤 경우에도 폭력이 있어서는 안되며 국민의 삶에 어떤 불편과 불안도 초래돼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김태흠 충남지사도 계엄해제 촉구에 목소리를 보냈다.
반면 유정복 인천시장은 계엄령 선포 직후 긴급회의를 소집하고 "지역 안전과 시민들의 생업에 지장이 없도록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지시했으나 청사 폐지 조치를 취해, 경기도와는 대조를 보였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영환 충북지사, 김진태 강원지사, 박완수 경남지사도 직접적으로 계엄해제를 요구하지는 않고 유보적인 태도를 보였다.
홍준표 대구시장 페이스북 캡쳐화면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홍준표 대구시장도 계엄 반대 입장을 따로 내지는 않았으나, 이날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충정은 이해하지만 경솔한 한밤중의 해프닝"이라며 "꼭 그런 방법 밖에 없었는지 유감"이라고 생각을 밝혔다.
국민의힘 소속 시도지사들은 그러나 이날 오후 합동으로 보도자료를 내고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선포로 국민과 정치권, 그리고 국제사회에까지 큰 혼란을 초래케 한 이번 사태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입장을 발표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의 사과와 향후 국정안정과 쇄신을 위한 조치에 대해서도 분명한 입장을 표명하고, 국가신용도와 경제불안이 없도록 대외리스크 관리에도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