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8 (토)

“전 국민이 지켜 보고 있다” 탄핵 정국…네이버 CCTV 검색량 400% 폭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 국민, 지도 앱으로 국회 앞·통신 인프라 살펴
79년 계엄과 달리 군 병력 배치 등 확인 가능
전문가 “전체 통신을 막는 건 사실상 불가”
헤럴드경제

카카오맵 내 CCTV 서비스가 제공하는 지난 4일 새벽 1시께 국회 앞 모습. [독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차민주 기자] 갑작스러운 비상계엄 사태가 발생한 지난 한 주(11월30~12월6일) 동안 네이버·카카오가 제공하는 폐쇄회로(CC)TV 서비스 이용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카카오 지도 앱의 CCTV 서비스로 계엄 직후 거리 상황을 살펴본 이용자가 많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IT(정보통신)업계에 따르면, 계엄 사태에 ‘CCTV’ 관련 검색어로 ‘네이버지도 CCTV’·‘카카오맵 CCTV’ 구글 검색량이 각각 400%·350%(11월 30일~12월 6일 오전 집계·11월 23일~11월 29일 대비) 급증했다.

헤럴드경제

네이버지도 내 CCTV 서비스가 제공하는 지난 3일 밤 11시께 국회 앞 모습. [독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지도·카카오맵의 CCTV 서비스로 국회 앞 등 계엄 현장을 파악한 이용자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CCTV로 군경의 국회 도착 시간을 파악하고, 장갑차 대수 등 군의 규모를 살펴봤다는 이용자 사례가 많았다. 직장인 최모(27)씨는 “계엄 선포를 확인하자마자 바로 네이버지도 CCTV를 키고 국회 상황을 살폈다”고 했다. 대학생 구모(23)씨도 “비상 상황인 만큼 집에서 안전하게 사태를 살필 방법을 생각하다 카카오맵을 내려받아 지켜봤다”고 했다.

헤럴드경제

네이버지도로 확인한 ‘데이터센터 각 세종’ 위치. [차민주 기자/chami@]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해당 서비스를 이용해 이동통신3사 기지국 및 네이버·카카오 데이터센터 주변 도로 상황을 주의 깊게 살핀 이용자도 적지 않다. IT업계 종사자 김모(31)씨는 “비상계엄 선포 직후, 통신 인프라가 강제 통제될까 우려해 업계 종사자들과 함께 카카오맵 CCTV로 통신 기지국·데이터센터 인근 도로에 군부대가 없는지 밤새워 확인했다”라고 했다.

전문가는 전국민이 계엄 현장을 실시간으로 들여다볼 수 있을 만큼, 첨단 기술 상황이 과거와는 크게 다르다고 평가한다. 1979년 1212 군사반란 당시에는 군 병력 배치와 이동 등이 국민이 알 수 없는 경로로 이뤄졌지만, 통신 등 IT 인프라가 발달하면서 경로 은폐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이성엽 고려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지금은 계엄 상황에서도 모든 정보를 차단하는 게 쉽지 않은 초연결 사회”라며 “계엄 시작 전부터 통신 차단을 계획한다면 가능하겠지만, 전체 통신을 막는 건 불법으로 사실상 불가능”이라고 했다.

헤럴드경제

네이버지도에서 국회 앞 CCTV가 송출되지 않는 모습. [독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CCTV 송출 과정에서 크고 작은 잡음도 발생했다. 지난 3일 계엄 선포 직후, 네이버지도에서 국회 앞 CCTV가 송출되지 않는다는 이용자가 다수 발생했다. 또 지난 4일 광화문에서 용산까지 탄핵 시위가 이어지던 저녁 8시께, 삼각지역에 설치된 CCTV의 UI가 표시되지 않다가 다시 나타나는 현상이 있었다.

이에 대해 네이버 측은 “내부 서비스 장애를 확인하지 못했다”며 “네이버지도 CCTV 서비스는 경찰청 등에서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에 따라 반영되는 구조로, 경찰청이 확인할 문제”라고 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