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화해위원장 취임
“당당하다”며 지하 통해 입장 박선영 진실화해위원장이 10일 국가폭력 피해자 항의를 피해 뒷문으로 처음 출근한 뒤 취임식장에 들어가고 있다(왼쪽 사진). 국가폭력피해범국민연대 회원들이 진실화해위 앞에 모여 박 위원장 사퇴를 촉구하는 손팻말 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열, 탄핵 표결 하루 전 임명…건물 안팎 손팻말 시위
공식 명칭을 잘못 적기도…취임식에서 기자 질문도 차단
윤석열 대통령이 국회 탄핵 표결을 하루 앞두고 임명한 박선영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위원장이 10일 국가폭력 피해자 항의에 부딪혀 뒷문으로 첫 출근을 했다. 박 위원장은 자신의 취임을 반대하는 사람들을 두고 “헌정 유린”이자 “내란 행위”라고 비난했다. 박 위원장은 취임식 전 현충원을 참배하면서 방명록에 진실화해위 공식 명칭을 다르게 적기도 했다.
국가폭력 피해자 단체들은 이날 박 위원장 취임식이 열리기 전부터 서울 중구 진실화해위 건물 앞에 모여 취임 반대 손팻말 시위를 벌였다. 건물 안팎에는 경찰이 배치돼 이들을 막았다. 건물 안 진입에 성공한 비영리단체 한베평화재단 인사들은 6층 취임식장 앞 복도에서 “내란수괴가 임명한 위원장 무효” “쿠데타 옹호 박선영 사퇴하라” 등이 적힌 손팻말을 들었다.
박 위원장은 이날 오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본인 임명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향해 “자신들의 입맛에 맞지 않는다고 국가의 독립조사위원장직 취임을 거부하고, 출근 저지 ‘투쟁’을 벌이는 것 자체가 ‘헌정 유린’”이라며 “법치주의를 말살하려 한다면 그것이야말로 내란 행위”라고 주장했다. 박 위원장은 또 “밀치면 쓰러질 것이고 때리면 맞을 것”이라며 “당당하게 임하겠다”고 했지만 국가폭력 피해자들의 항의를 피해 건물 지하층을 통해 취임식장으로 올라갔다.
박 위원장은 취임식에 앞서 국립서울현충원을 참배했다. 그는 방명록에 “진실과 화해를 위해 나아가는 험난한 길에 위국헌신하신 분들의 넋과 혼이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와 함께하시리라 굳게 믿는다”고 적었다. 박 위원장이 맡은 기구의 공식 명칭은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인데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라고 쓴 것이다.
박 위원장은 취임사에서 “국내외적으로 엄중한 시국에 막중한 임무를 맡게 돼 어깨가 무겁다”며 “대한민국이 더욱 정의롭고 화합된 미래로 나아갈 수 있도록 다짐하며 위원장직을 시작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진화위가 갈등의 도가니가 아니라 대한민국 사회에 화해와 통합을 이끌어가는 큰 주춧돌이 되길 간절히 소망한다”고 했다.
한 기자가 취임식에서 박 위원장을 향해 “내란수괴 윤석열이 불법적으로 임명했다는 비판이 나오는데, 어떻게 생각하냐”고 질문하자 진실화해위 직원이 “오늘 질문을 받지 않는다. 양해해달라”면서 가로막았다. 박 위원장이 이동할 때도 기자들이 “비상계엄을 옹호하냐” “불법 임명 논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 “피해자 단체에 헌정 유린이라고 하지 않았냐” 등 질문을 던졌지만 박 위원장은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집무실로 들어갔다.
박 위원장 임명에 반대하며 사의를 표명한 송상교 진실화해위 사무처장과 야당 추천 이상훈 상임위원은 취임식에 불참했다. 일부 위원들은 박 위원장 취임에 계속 반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취임식이 끝난 뒤에도 건물 밖에서 국가폭력 피해자·연대 단체들이 손팻말 시위를 이어갔다. 국가폭력피해범국민연대는 “헌법유린 반란수괴가 임명한 박선영을 거부한다”며 “박 위원장은 즉각 물러나라”고 했다. 이들은 “국가폭력을 당한 피해자들이 진실화해위의 실질적 주인이고, 그 사람들에 의한 위원장이 있어야 한다”며 “그런데 위원장이 공권력을 동원해 몰래 들어가 취임식을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계속 찾아와 내려오라고 요구할 것”이라고 했다.
최서은 기자 cielo@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명태균 게이트’ 그들의 은밀한 거래, 은밀한 관계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