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중국 정부가 제시할 실질 GDP 성장률 목표치는 2024년과 비슷한 5% 내외로 예상된다. 미국의 대중국 고율 관세 부과로 2025년 중국 수출은 전년에 비해 줄어들고 GDP 성장도 하방압력에 노출될 전망이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중국 당국은 지방부채 압력 해소와 내수회복및 부동산 시장 안정에 전력을 쏟을 것이란 관측이다.
평안증권 보고서는 미국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를 인용, 미국의 60% 고율 관세 부과는 중국의 실질 성장률을 0.9% 떨어뜨릴 것이며, 부문별로는 수출과 소비, 투자, 고용률을 각각 0.8%, 0.6%, 2.2%, 2.3% 끌어내릴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이 보복관세로 맞서도 2025년 중국 성장률은 큰 변화없이 0.8%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2024.12.16 chk@newspim.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전면적 고율관세 부과가 현실화할 경우 위안화 환율 절상(위안화 가치 하락)은 관세 부과 효과를 어느 정도 상쇄하고 중국 제품이 비미국 시장에 까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수단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가 10% 하락하면 이론상 미국의 중국산 수입품 물가는 2.5%~3.5% 하락할 것으로 추정된다. 비 미국 시장에 대한 가격 경쟁력은 이보다 한층 높아져 중국의 수출 확대및 무역 흑자 확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2019년 상반기 미중 무역협상이 결렬된 후 위안화 환율은 1년여전보다 15% 절상(위안화 가치 하락)됐고 이는 중국의 글로벌 수출 경쟁력을 강화시켰다.
중국은 미국 트럼프 정부가 실제로 6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할 경우, 비 미국 수출 시장 개척을 위해 위안화 환율 절상, 관세 인하를 통한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국가와의 관계 강화 등 종합적인 수출 증진대책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2018년 미중 무역전이 본격화했을 때도 중국은 미국외의 국가 제품 수입에 대해 평균 관세율을 8.0%에서 6.5%로 낮춰 무역량을 늘린 바 있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2024.12.16 chk@newspim.com |
중국은 또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RCEP)과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에도 한층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 아시아 국가 등과 협력 관계 강화에 한층 공을 들일 것이라는 얘기다.
미국 관세 압박을 피할 수단으로 중국이 산업 공급망의 중간재 생산 기지를 베트남이나 멕시코 등 제3국으로 이전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관련, 2018년~2021년 중국의 대미 직접수출 비율은 크게 줄었지만 중국의 대미 수출 부가가치는 감소하지 않았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24년 중국 1~3분기 성장률은 각각 5.3%, 4.7%, 4. 6%를 기록했다. 부동산 경기 부진과 주민 소득 증가율 둔화, 전반적인 국내 수요 부진이 경제 회복에 걸림돌로 작용했다. 2025년 중국 경제 회복 여부를 점치는데 있어서 내수 부동산 시장 안정세가 중요한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2024.12.16 chk@newspim.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재 중국 국내 수요부진의 가장 큰 걸림돌은 부동산 시장 침체다. 중국은 디레버리지, 경제 구조조정 프로그램을 일부 후퇴시키면서 까지 부동산 부양에 적극 나섰지만 시장은 쉽게 살아나지 않고 있다.
부동산이 GDP를 견인하는 효과는 2024년 3분기 현재 11.8%까지 떨어졌다. 코로나 발생 초기인 2020년 말에 비하면 9.8% 포인트나 하락한 수치다. 중국은 2025 트럼프 리스크 예방을 위해 부동산 부양에 한층 역점을 쏟을 전망이다.
2025년 중국 집값은 당분간 약세를 보이겠지만 점차 하락폭을 좁힐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본다. 2024년 10월 중앙정치국회의가 부동산 시장 안정 촉진 결정을 내린후 주택 판매 경기가 개선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2024.12.16 chk@newspim.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강력한 경기 부양을 위해 대폭적인 확대 재정 편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목소리도 높다. 트럼프 관세 충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2025년 재정정책에 있어 2조위안 이상의 증액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재정정책과 관련해 일부 전문가들은 2025년 적자율을 평년 3% 내외에서 4~4.5% 까지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특별 채권 발행규모도 큰 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통화 경기 부양도 가속화할 전망이다. 중국은 2024년 신중을 기하다가 7월에야 연내 첫 금리 인하에 돌입했다. 2025년 중국 당국은 금리인하에 보다 전향적 태도로 임할 것으로 보여진다. 일각에서는 중국 7일물 역RP금리로 대표되는 정책금리가 최소 30bp 인하돼야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2024.12.16 chk@newspim.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 최헌규 중국전문기자(전 베이징 특파원) chk@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