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어 공유형 이음5G 솔루션 구성. /자료=세종텔레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세종텔레콤이 넓은 건설 현장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안전하게 공사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이음 5G(5G 특화망) 구축에 성공했다.
세종텔레콤은 대전 유성구 국제과학비즈니스 벨트거점지구 내 4만3000㎡(약 1만3000평) 규모로 조성 중인 머크 라이프사이언스의 바이오 원부자재 생산 시설인 '아시아태평양 바이오 프로세싱 생산센터' 건축 현장에 코어 공유형 이음 5G 모델을 구축했다고 18일 밝혔다.
코어 공유형 이음 5G 모델은 5G 메인 센터의 코어를 다수 현장에서 공유해 사용하는 기술이다. 각 현장에 맞게 구축된 개별 이음 5G 환경을 연결해 한 번에 관리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이를 통해 넓은 공간에서도 통신 오류나 음영 지역 문제없이 5G 특화망을 도입할 수 있다.
특히 '고품질 CCTV 영상 관제'는 이음 5G의 초고속·초저지연 기술을 기반으로 고화질의 대용량 영상 데이터 송수신과 AI(인공지능) 영상 분석 고도화를 통해 현장 상황 인식률을 높였다. 아울러 이음 5G로 CCTV 설치가 가능한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확장해 현장 곳곳에 고정형·이동형 AI CCTV를 설치했다.
세종텔레콤은 경기도 과천시 과천 본사에 관제 센터를 설치했다. 관제 센터에는 5G 메인 코어(Core)와 서비스 관리 플랫폼을 설치해 원격지의 제어 신호를 처리하고 장비 관리·사용자 관리 등 시스템을 운영한다.
백기영 세종텔레콤 GM은 "이음 5G는 초고속, 초저지연 통신은 물론 기술 보안과 산업재해 문제 개선에도 효과적"이라며 "특히 5G 코어를 공유하는 모델은 건설 현장의 이음 5G 도입 비용을 절감시켜 투자 대비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세종텔레콤은 HD현대중공업·HD현대미포·TLB 클러스터에 이음 5G를 구축한 바 있다. 아울러 본사인 과천 사옥에도 이음5G를 구축해 임직원의 서비스 경험을 바탕으로 스마트 오피스 기반의 적용 사례를 발굴하는 등 다양한 이음 5G 사례를 만들어가고 있다.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