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기준 1년 전보다 소득이 증가해 소득분위가 상승한 국민은 10명 중 2명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계층 이동성이 약해지면서 경제 양극화가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통계청은 18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7~2022년 소득이동통계 개발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처음 공표된 이번 통계는 작년부터 개발을 시작해 인구주택총조사 등록 센서스와 국세청 소득자료를 연계해 만들어졌다. 가계금융복지조사처럼 특정 시점의 소득분배 상황이 아니라 6년간 같은 표본(약 1100만명)을 분석한 ‘종단 자료’라 개인 단위의 사회 이동성을 파악할 수 있다.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전년 대비 소득 분위의 상승이나 하락을 경험한 비율(소득 이동성)은 34.9%로 집계됐다. 상향 이동한 사람(17.6%)이 하향 이동한 사람(17.4%)보다 소폭 많았다. 소득 이동성은 2020년 35.8%를 기록한 뒤 2021년 35%, 2022년 34.9%로 2년 내리 하락하는 모양새다. 최바울 통계청 경제사회통계연구실장은 “팬데믹 기간에 65세 이상 여성 등을 중심으로 하향 이동이 컸다. 이후 이동성이 줄었다는 건 이들이 다시 회복을 못 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2022년 소득분위별로 유지 비율을 보면 고소득자인 5분위가 86.0%로 가장 높았고 빈곤층인 1분위의 소득분위 유지 비율은 69.1%로 5분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연도별로 봤을 때 전년 대비 1분위에서 상향이동한 ‘탈출률’은 감소 추세다. 1분위 탈출률은 2020년 32.2%로 정점을 찍은 뒤 2021년 31.7%, 2022년 30.9%로 낮아졌다.
세종=이우림 기자 yi.woolim@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