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거래위원회가 18일 발표한 ‘대리점 거래 서면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본사와의 거래에 전반적으로 만족한다고 응답한 대리점은 89.4%로 전년보다 0.9%포인트 하락했다. 자동차판매(61.6%), 화장품(66.1%), 가구(70.7%) 업종에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불공정 관행이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체감했다는 응답 비율은 91.8%로 전년보다 1.0%포인트 떨어졌다. 역시 화장품(71.3%), 자동차판매(74.0%), 가구(78.1%) 업종의 개선 체감도가 낮았다.
이번 조사 대상은 총 20개 업종 522개 본사(공급업자)와 대리점 13만5848개 중 확률추출 방식으로 선정한 5만곳이다.
본사가 일방적으로 거래조건을 불합리하게 변경하거나 반품을 거부하는 불이익 제공행위 경험 응답은 자동차판매(18.0%), 화장품(15.8%), 가구(12.5%) 순으로 많았다. 경영상 비밀을 요구받았다는 응답은 화장품(12.8%), 자동차판매(9.0%), 가구(8.1%) 업종 순으로 높았다.
공정위는 이를 위해 표준계약서가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홍보하고 사용을 독려하는 한편, 대리점의 투자비용을 고려하지 않는 공급업자의 부당한 계약 해지나 계약갱신 거절을 방지할 방안 마련을 검토할 계획이다.
이상혁 선임기자 next@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