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동부 상하이항 양산항. / 신화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사례는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 보고서에 담긴 내용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는 22일(현지 시각) 해당 사례를 인용해 “중국산 수납장이 말레이시아에서 환적해 미국으로 수입된다”며 “미국 관세를 우회하는 비밀스럽지 않은 방법”이라고 전했다.
칭다오하이옌그룹의 경우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인 2018년 중국산 수납장에도 관세가 부과되면서 시작된 일례에 불과하다. 2020년 시작된 조 바이든 행정부 역시 최대 262%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면서 중국산 물품의 미국 수입을 제지했다.
이에 대응해 중국 회사들은 말레이시아는 물론 베트남, 태국 등으로 사업체를 이전하거나 새로운 시설을 설립해 원자재를 이동, 상품을 만들었다. WSJ는 “CBP의 조사에 따르면 중국 회사들은 동남아 국가를 상품의 원산지를 가릴 수 있는 임시 보관 장소로 사용했다”고 했다.
문제는 중국 수납장 회사 뿐만 아니라 최근 몇 년 동안 매트리스, 태양광 패널 등 제조업 전반에 걸쳐 중국산이라는 원산지를 피하기 위한 환적 시스템이 적극적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CBP는 지난해 조사를 통해 수입업자들이 5억 달러 규모의 관세를 회피하려는 시도를 막았다.
정미하 기자(viva@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