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18세가 되면 아동복지시설에서 나와 '자립'
경제, 취업, 대인관계 등 홀로서기 어려워
자립에 필요한 지원 정책 시급
경기도의회 정경자 의원 '경기도 자린준비청년 지원 조례' 발의
정 의원 "보호 중 자립 기반을 만들 수 있는 교육 필요"
열여덟 어른이라는 말을 알고 계시나요? 자립준비청년이라고도 불리는데요. 유년 시절 가족의 해체라는 어려움을 겪고 아동복지시설 등에서 보호를 받으며 생활을 하다가 만 18세가 되어 보호가 종료되면 시설을 떠나 홀로서기를 해야 하는 청년들을 말합니다.
지난 2005년 부모의 얼굴도 모른 채 아동복지시설에 입소했던 A(26)씨는 만 18세가 되던 지난 2018년도에 보호시설을 나와 자립을 하게 됐습니다. 당시 그가 가지고 있던 건 나라에서 주는 정착금 500만 원이었습니다.
"맨땅에 헤딩이라고 정말 막막했죠. 누구도 알려주지 않았으니까요"
자립을 위해 그가 받은 교육은 전혀 없었습니다. 텅 빈 월셋집에 뭐부터 사야 할지도 몰라 시급한 생활용품부터 하나씩 구매를 했고 공과금도 몰라 인터넷을 검색하거나 고지서에 적힌 전화번호로 전화해서 이게 전기세인지 가스비인지 알게 됐다고 합니다. 그렇게 그는 홀로 세상을 알아가게 됐습니다.
자립준비청년 A(26)씨는 지난 2018년 만 18세가 돼서 자립을 하게 됐다. 박철웅 PD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시설에서 3~5만 원 용돈 받다가 큰돈이 생기니 사람을 믿을 수가 없었어요."
사회생활을 하며 가장 힘들었던 건 사람을 대하는 방법이었습니다. 주변 사람들의 작은 호의도 의심이 됐고 사람들과 관계의 벽을 치며 스스로 자물쇠를 채웠습니다. 다행히 좋은 분들을 만나 마음을 열게 된 건 꽤 오랜 시간이 지나서였습니다. 그런 그가 최근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고 제 2의 도전을 시작했습니다.
그는 "보호아동이 된 건 제 선택이 아니잖아요. 어렸을 땐 억울하고 착잡했는데요. 다른 사람들과 출발선은 다르더라도 바르게 살다보면 나중에는 더 잘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라고 말을 전했습니다.
자립준비청년을 지원하는 SOL 윤도현 대표는 "아이들이 갖고 있는 상처를 회복하지 못한 채 시설에서 퇴소하는 경우가 많아 사회 적응이 어렵다"며 "시설에서 상처 회복을 비롯해 경제, 취업 등 다양한 교육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경기도의회 정경자 의원(국민의힘, 비례). 박철웅 PD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근 경기도의회에서 '경기도 자립준비청년 등의 자립 지원에 관한 일부개정조례안'이 심의를 통과하며 자립준비청년들의 홀로서기를 돕는 지원책들이 마련되고 있습니다.
이 조례를 대표발의한 경기도의회 정경자 의원(국민의힘, 비례)은 "만 18세는 아직 어른이 아니에요. 준비가 안 된 상태에서 자립을 하라고 하니 생존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이라며 "보호 중 자립을 위한 제대로 된 교육과 취업을 위한 다양한 분야의 멘토를 만나게 하는 등 지지기반을 만들어줘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세상에서 홀로서기를 해나가는 자립준비청년과 이들을 위한 정책을 만들어가는 경기도의회 정경자 의원을 만나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