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타당성 B/C 1.03… 첫 관문 통과
88올림픽 유산 활용 지속가능 대회로
설문조사서 시민 85.2% '유치 찬성'
오세훈 "화합 올림픽 위해 역량 집중"
25일 서울시는 2036년 서울올림픽 유치를 위해 지난 5~11월 한국스포츠과학원이 진행한 사전타당성 조사에서 편익/비용 비율(B/C)이 1을 넘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서울 및 전국 활용 가능한 경기장 현황. 서울시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제경기대회 지원법'에 따르면 올림픽 유치를 희망하는 지방자치단체장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정하는 전문기관에 사전타당성 조사를 의뢰하고 결과를 제출해야 한다.
이번 조사에서 '2036 서울올림픽' 개최에 따른 총비용은 5조833억원, 총편익은 4조4707억원으로 이를 현재가치로 환산하면 각각 3조358억원, 편익 3조1284억원으로 B/C 1.03이 도출됐다.
총비용은 대회운영비(경기운영·숙박·문화행사·홍보 등) 3조5405억원(69.7%), 시설비(경기장 개보수 및 임시경기장 설치 등) 1조5428억원(30.3%)으로 구성됐다. 총편익은 가구당 평균 지불의사가격(WTP)을 바탕으로 추정한 비시장적 편익 1조9307억원과 IOC 지원금, 마케팅·티켓 판매 수익 등 조직위원회 자체 수입 2조5400억원으로 올림픽 대회 기간 중 발생하는 시장적 편익의 합으로 산정됐다. 총비용으로 도출된 5조833억원은 2000년 이후 열린 다른 올림픽과 비교했을 때 현저히 낮은 최저 비용으로, 서울시는 1988 서울올림픽 경험과 유산을 바탕으로 신축 없이 기존 경기장을 최대한 활용하고 일부 부족한 시설은 타 시·도 소재 경기장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실제 2012년 런던 16.6조원, 2016년 리우 18.2조원, 2020년 도쿄 14.8조원, 2024년 파리 12.3조원 등 최근 10년 전후로 열린 올림픽들의 개최 비용은 10조원을 넘었다.
앞서 서울시는 경기도, 인천시, 부산시, 강원도 등 타 시·도와 주요 시설물 사용 및 해양스포츠 등 서울에 없는 경기장을 공동 활용키로 협의를 마쳤다. 세부적인 계획도 마련했다.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을 치르기 위해 개장한 선학하키경기장(인천 연수구)은 이달 말까지 개보수해 국제공인을 획득할 예정이며 1988년 올림픽 요트경기를 위해 조성된 수영만 요트경기장은 2026년까지 민간투자사업(BTO) 방식 재개발로 새 단장한다.
여기에 서울시는 ▲88서울올림픽 경기장(송파구 올림픽공원 내) 재활용 ▲잠실 올림픽주경기장 리모델링(2026년) ▲민간투자사업으로 잠실 스포츠·MICE 복합단지 조성(2032년)을 비롯해 광화문·한강 등 주요 명소에 임시경기장(비치발리볼·양궁·스케이트보드 등)을 설치하면 약 5조원으로도 대회 개최가 충분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시민들의 동의도 끌어냈다. '2036 서울올림픽' 유치 설문조사에 응한 서울시민 85.2%(전국 81.7%)는 올림픽 유치에 찬성했으며 93.8%(전국 89.8%)는 2036 서울올림픽이 성공적으로 개최될 것으로 인식했다. 올림픽 유치를 찬성하는 이유로는 '대한민국 국가 이미지를 높일 수 있다'(41.3%)에 이어 '국가 경제 및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한다'(40.1%), '국내 스포츠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12.4%)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1896년 제1회 아테네올림픽이 열린 후 두 차례 이상 올림픽을 유치한 국가는 6개국으로, 평균 50년 만에 두 번째 대회를 개최한 점을 감안하면 1988년 이후 48년 만인 2036년은 올림픽을 다시 한번 유치하기에 적절한 시기로 보고 있다. 이에 맞춰 서울시는 지난달 12일 2036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해 대한체육회에 '개최계획서'를 제출했다. 이후 현장실사, 종합평가 등이 이뤄질 예정으로 대한체육회 평가위원회는 잠실주경기장, 코엑스 등을 방문하기로 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036 서울올림픽은 IOC의 '올림픽 아젠다 2020+5'의 핵심 가치인 지속가능한 올림픽의 성공 모델이 될 것"이라며 "유치가 확정되면 정부·지자체·IOC와 함께 평화와 화합의 올림픽이 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쏟겠다"고 밝혔다.
서울 및 전국 활용 가능한 경기장 현황. 서울시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