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 심리적 저항선인 1450원대 뚫은 뒤 고공행진
불황에 계엄 여파로 자영업계가 울상을 짓고 있는 가운데 12월 15일 오후 서울 종로 일대 모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2·3 비상계엄 사태’로 시작된 정치 불확실성이 경제 전반을 짓누르고 있다. 불안한 국내 정세에 소비 심리는 팬데믹 이후 가장 많이 위축됐고, 그 영향으로 연말 특수는 자취를 감췄다. 더 우려스러운 건 강달러 현상이다. 원·달러 환율은 심리적 저항선을 뛰어넘은 뒤에도 연일 고공행진 중이다. 환율 상승은 수입 물가를 자극해 소비자물가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정치·경제 리스크로 내수 부진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25일 한국은행의 '12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88.4로 전월(100.7) 대비 12.3포인트(p) 하락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였던 2020년 3월(-18.3p) 이후 4년 9개월 만에 최대 하락 폭이다. 지수 자체도 2022년 11월(86.6) 이후 2년 1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CCSI는 소비자들의 경제 상황에 대한 심리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다. 100을 기준으로 이보다 크면 경제 상황에 대한 소비자의 주관적인 기대심리가 과거 평균보다 낙관적이고,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우려스러운 건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이 가결됐던 8년 전보다 소비 심리가 더 빠르게 얼어붙고 있다는 점이다. 박 전 대통령의 탄핵 소추안의 시발점인 '태블릿 PC 논란'이 불거진 2016년 말 CCSI는 102였다. 이후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이 급속도로 퍼지면서 박 전 대통령을 탄핵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자 같은 해 11월 CCSI는 95.7까지 떨어졌다.
신용카드 사용액도 감소했다. 통상 연말에 카드 사용액이 느는 것과 반대되는 흐름이다. 통계청 속보성 지표인 나우캐스트에 따르면 이달 6일 기준 전국 신용카드 이용 금액은 전주 대비 26.3% 급감했다. 추석 연휴 기간이었던 9월 20일(-26.3%) 이후 11주 만에 가장 큰 감소율이다. 불안한 국내 정세에 연말 모임을 줄줄이 취소한 게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더 큰 문제는 치솟는 환율이다. 외환 당국 등에 따르면 이달 24일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4.4원 오른 1456.4원에 마감했다. 원·달러 환율은 비상계엄 이후 심리적 저항선인 1450원을 뚫은 뒤 연일 고공행진 중이다. 일각에선 탄핵 정국이 장기화하고 내년 초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면 1500원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고환율은 수입 물가를 끌어올려 국내 소비자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한다. 특히 해외 원재료 의존도가 높은 국내 기업은 더 큰 치명타를 입을 수밖에 없다. 수입물가는 통상 한두 달 정도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1% 초반대로 안정세를 보이는 물가 상승률이 내년 상반기 중 다시 들썩일 가능성이 있다. 물가 상승이 지속하면 국민의 실질 구매력이 약화해 내수 회복도 지연될 수 있다.
강달러 현상에 정부도 우려감을 표하는 분위기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3일 기자간담회에서 환율 상승세와 관련해 "전부 국내 (정치) 요인 때문이라고 보는 것은 정확한 분석은 아니다"면서도 "외환 당국으로서는 환율의 일방적인 급변동에 대해 강력하게 시장안정조치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이투데이/세종=조아라 기자 (abc@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