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감도
세계 최대 반도체 산업단지인 용인 국가산단의 산업단지 계획이 당초 목표보다 3개월 빠른 오늘(26일) 승인됐습니다.
정부는 통상 4년 이상 소요되는 후보지 선정에서 산단 지정까지의 시간을 1년 9개월로 줄인 데 이어 내년부터 신속한 보상을 통해 착공 시기도 당초 2030년 6월에서 2026년 12월로 앞당긴다는 방침입니다.
동시에 2030년 반도체 생산공장(팹·fab) 1호기 가동에 맞춰 도로, 용수, 전력 등 핵심 인프라를 확충하는 한편 국가산단과 배후주거지와 통합 개발해 산업중심 복합도시로 조성해 나갈 계획입니다.
정부는 이날 경기도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에서 국토교통부, 경기도, 용인시,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삼성전자 등이 참여한 가운데 사업시행자와 입주기업 간 실시협약을 체결하고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에 대한 특화 조성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용인반도체 국가산단은 728만㎡ 부지에 대규모 팹 6기와 발전소 3기,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협력기업 60개 이상 등이 입주하는 대형 국가 전략사업이다.
전체 단지 준공 시까지 최대 360조 원에 이르는 민간 투자가 이뤄져 160만 명의 고용과 400조 원의 생산 유발 등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정부는 통상 4년 이상 소요되는 산단 지정기간을 1년 9개월로 줄인 데 이어 내년 3월을 목표로 했던 산업단지계획 승인도 3개월 단축했습니다.
승인 일정이 단축되면서 2026년 12월 이전 부지를 착공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됐습니다.
계획대로 2026년 말쯤 착공하면 후보지 발표부터 착공까지 기간이 3년 6개월로, 당초 예상(7년)보다 절반으로 단축되게 됩니다.
정부는 보상안 등 산단 조성 속도를 높이기 위한 내용을 특화 조성계획에 포함 시켰습니다.
정부는 우선 착공까지의 시간 단축에 관건인 보상 작업에 속도를 내기 위한 '상생 보상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산단 남서쪽 창리저수지 일대 37만㎡ 부지에 270가구 규모의 이주자 택지를 조성하고, 북서쪽에는 50만㎡ 규모의 이주기업 전용 산단을 만든다는 계획입니다.
현재 산단 내에는 542가구가 상주하고 있으며 89개 기업이 공장을 가동 중입니다.
이주기업 전용 산단은 희망기업 50여 곳이 업종 제한없이 모두 입주할 수 있도록 할 방침입니다.
이주자 택지를 공급받지 못하는 임차가구를 위해선 산단 인근에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합니다.
LH 발주사업에 대해 원주민 단체의 사업 위탁을 활성화하고, 산단 내 입주 기업에 주민 고용도 추천하는 등 생계지원 대책도 마련했습니다.
원주민이 현금보상 대신 근린생활시설용지 등을 공급받길 희망하는 경우 대토보상 확대 시행을 통해 재정착도 지원할 방침입니다.
정부는 국가산단과 배후 주거지인 용인 이동읍 이동 공공주택지구를 통합 개발하고, 이동 주택지구를 문화 중심지로 육성해 일대를 새로운 '산업중심 복합도시'로 조성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랜드마크 산단'으로 만든다는 계획입니다.
이동 공공주택지구 228만㎡ 면적에 1만 6천 가구를 조성하며 내년 1월까지 지구 지정을 완료해 팹 1기가 가동되는 2030년에 맞춰 첫 입주가 가능토록 할 계획입니다.
산단 인근 복합문화공간 등을 조성하고 늘어나는 교통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산단을 관통하는 국도 45호선 이설·확장사업 중 산단 내 구간은 2030년까지 개통하는 등 인프라도 확충합니다.
정부는 산단 중심으로 격자형 고속도로망을 구축하고, 경강선 등 연계 철도망 구축을 추진해 주민의 출퇴근 편의성을 높일 계획입니다.
서울-세종 및 반도체 고속도로도 적기에 차질없이 구축해 고속도로망도 완성합니다.
경기 강원 철도인 경강선 등 연계 철도망 구축도 추진합니다.
정부는 전력, 용수 등의 산단 인프라도 적기에 갖춰지도록 할 방침입니다.
정부는 특화 조성계획 과제가 모두 법률 개정없이 추진이 가능한 만큼 내년부터 보상 등 후속 절차에 적용되도록 준비작업에 착수하는 등 속도감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국토교통부 제공, 연합뉴스)
정준호 기자 junhoj@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