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디지털 정책 연구를 지속해 온 6개 기관이 2013년 1월부터 올해 6월15일까지 발표한 정책 자료 10여년치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간했다.
분석 대상은 △NIA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매사추세츠공대 테크놀로지 리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6개 기관이 발간한 7665개 정책 자료다.
전체 데이터에서 중요 키워드를 뽑아낸 결과 상위 20개의 키워드는 AI, 로봇, 5G, 보안, 네트워크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AI가 키워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TF-IDF 값이란 특정 단어가 문서 내에서 얼마나 중요한지를 나타내는 통계적 수치를 의미한다. [자료=NIA '디지털 정책보고서로 살펴본 디지털 유망 기술 및 정책과제 분석' 보고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보고서를 작성한 연구진은 특정 단어가 문서 내에서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한 통계적 수치(TF-IDF)를 뽑아냈다. 그 결과 AI가 가장 중요한 키워드인 것으로 나타났다. 로봇, 5세대(5G) 이동통신, 보안, 네트워크 등이 뒤를 이었다.
분석 결과 'AI'와 '보안 및 안전' 기술의 중요도가 크게 높았다. 두 기술은 미래 중요도를 의미하는 '변화율'에서 증가 추세를 보여 높은 기술적 중요도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래 유망 기술로는 '블록체인', '자율주행', '생성형 AI'가 뽑혔다. 이 기술들은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진 않으나, 변화율이 높아 빠르게 발전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반면, '클라우드 컴퓨팅'과 '빅데이터' 기술은 높은 중요도는 높으나 변화율이 마이너스로 나타나 새로운 혁신보다는 기술적 안정화 단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주요 키워드별 중요도 및 변화율. 중요도는 '각 키워드가 특정 기간에 정책 문서에서 가지는 중요도를 나타내는 통계적 수치'를 의미한다. 변화율은 양수일 경우 이전 기간 대비 증가하는 비율, 음수일 경우 이전 기간 대비 감소하는 비율을 뜻한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대인 기자 modernman@etnews.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