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3 (금)

[뉴스특보] 괌 추락 이후 최대 참사…179명 사망·2명 구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특보] 괌 추락 이후 최대 참사…179명 사망·2명 구조

<출연 : 정문교 기장·성승환 기자>

어제 아침 무안국제공항에서 제주항공 여객기가 착륙 중 활주로 외벽에 충돌한 뒤 화재가 발생하는 대형 참사가 발생했습니다.

탑승객 181명 중 2명을 제외한 179명이 숨져 국내에서 발생한 역대 항공기 사고 중 가장 큰 사고로 기록됐는데요.

사고 발생 원인을 두고는 전문가의 의견이 분분한 상황입니다.

이번 여객기 참사와 관련해 미 국가교통안전위원회도 조사팀을 구성해 지원할 방침인데요.

관련 내용들, 정문교 기장, 성승환 기자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질문 1> 2024년 세밑에 정말 너무나도 안타까운 참사가 발생했습니다. 탑승객 181명을 태운 여객기가 활주로에 동체착륙 중 화재가 발생해 2명을 제외한 179명의 탑승객이 희생이 됐습니다. 착륙 허가 불과 9분 만에 벌어진 일인데, 이번 참사의 사고 경위, 다시 한번 짚어 볼까요?

<질문 1-1> 기장께선 오랜 기간 항공기를 운행하셨던 분으로서 이번 참사가 더 안타깝게 느껴지실 텐데, 앞으로 자세히 살펴보겠지만, 이번 무안공항 여객기 참사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2> 이번 사고의 원인으로 버드 스트라이크, 즉 새와 충돌하면서 엔진에 이상이 생겼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는데요. 버드 스트라이크는 항공기에 어느 정도로 위험한 건가요?

<질문 2-1> 기장께선 항공기를 운행하시면서 버드 스트라이크를 경험해 보신 적이 있나요? 운행 중 버드 스트라이크시 매뉴얼 같은 게 있습니까?

<질문 3> 무안공항 인근이 철새도래지로 조류 충돌 발생률이 높은 편이라고 하는데요. 인천이나 김포, 김해공항 등에 비해 조류 충돌 가능성이 어느 정도 높은 건가요? 또 버드 스트라이크를 방지하기 위해 어떤 조치를 취하나요?

<질문 3-1> 착륙 직전 공중에서 새가 엔진으로 들어갔다는 추측도 나오는데, 엔진 이상이 랜딩기어 고장으로도 이어질 수 있나요?

<질문 4> 항공기 자체에 기체 결함 부분도 점검해 봐야 할 것 같은데요. 사고가 난 제주항공 여객기가 이틀 전에도 시동이 꺼지는 일이 발생했다는 이야기도 있었죠. 그리고 조금 전 같은 항공사 같은 기종에서 랜딩기어에 또 문제가 있었다는 소식이 들어왔어요?

<질문 4-1> 이번에 사고가 난 여객기가 보잉 737인데요. 기장께선 보잉 737 운행 경험이 굉장히 많다고 들었는데, 15년 기령으로 비교적 신형에 속한다고 해요. 하지만 보잉 7373 계열이 사고 오명도 많은 편이거든요? 기체 자체의 문제점이 있었을 가능성에 대해선 어떻게 예상하시나요?

<질문 5> 일각에선 무안공항 활주로가 짧은 탓에 충돌사고가 났을 수 있다는 관측도 있습니다. 국토부에선 활주로 길이를 사고 원인으로 보는 건 무리가 있다고 선을 그었거든요?

<질문 6> 국토부에 따르면 사고기의 2가지 블랙박스인 비행기록장치와 음성기록 장치 두 가지 모두 수거했다고 하는데요. 이 두 가지를 분석한다면 정확한 사고 원인이 규명될 수 있는 건가요?

<질문 7> 이번 참사는 랜딩기어 고장으로 '동체착륙'을 시도했다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데요. 기장이 랜딩기어 고장을 인지한 이후 바로 동체 착륙을 결정하는 건가요? 아니면 동체 착륙이 아닌 다른 선택지도 있나요?

<질문 8> 만일 랜딩기어에 문제가 생겼다면 조종사는 언제쯤 인지할 수 있는 건가요?

<질문 9> 랜딩기어 3개 모두 작동하지 않는 사례가 매우 이례적이라고 하던데, 그렇다면 기체 결함 가능성이라고 봐야 하는 건지요?

<질문 9-1> 랜딩기어가 고장이 났다고 하더라도 수동으로 랜딩기어를 조작할 수도 있지 않나요? 수동 조작도 힘들 만큼 또 다른 문제가 있었을 가능성도 있을까요?

<질문 10> 이번에 랜딩기어 미작동으로 동체 착륙을 시도하다가 사고가 난 건데, 1991년 대구공항에서도 동체착륙을 시도했었는데, 그때는 탑승자 126명이 전원 생존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와 이번에는 어떻게 달랐던 건가요?

<질문 11> 사고 발생 당시 공항의 대처에는 문제가 없었는지도 궁금한데요. 동체착륙 시 충격을 최소화기 위한 사전 준비 작업이 필요한데, 이번 참사에선 활주로에 화염냉각 물질을 뿌린다거나 하는 등 준비 작업 등이 이루어지지 않았죠?

<질문 12> 사고 난 여객기가 미국 보잉사가 제작한 737-800인데요. 기장께선 737을 오래 운행하셨다고 하는데, 다른 기종과 차이점 같은 게 있나요?

<질문 13> 항공기는 이륙 후 3분, 착륙 전 8분 사이에 사고 발생 위험이 크다고 하는데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질문 14> 미국 교통안전위원회와 사고 여객기 제조사인 보잉사에서도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한 조사에 참여한다고 하는데요. 사고난 여객기 제조사가 참여를 하는 건 이해가 되는데,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 NTSB가 사고 조사를 돕기 위해 조사팀을 구성했다고 하는데, 이 부분도 흔히 있는 일인지, 아니면 특별한 경우인가요?

<질문 14-1> 비행기록장치와 음성 기록장치는 사고 경위를 조사하는데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는데,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들여다봐야 할까요?

<질문 15> 항공기 기술 발전으로 엔진 소음은 줄고, 출력이 높아지면서 동물들이 이를 감지하고 피하는 것이 더 어려워졌다고 하는데, 실제로 어떻습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