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30일 통신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5G 다운로드 전송 속도는 3사 평균 1025.52Mbps로, 지난해(939.14Mbps)에 비해 9.2% 빨라졌다. 해외 주요 7개국의 평균 다운로드 속도인 331.21Mbps(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보다 3배 이상 빠른 수치다. 통신사별로는 SK텔레콤(1064.54Mbps), KT(1055.75Mbps), LG유플러스 (956.26Mbps) 순이었다. 서울 등 대도시에선 KT가 SKT를 근소하게 앞서기도 했다.
5G 전국망 구축이 완료됐지만 서울 및 6대 광역시와 농어촌 간 통신 품질 격차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기정통부는 농어촌 지역의 5G 커버리지를 확대하기 위해 2021년부터 통신 3사가 지역을 나눠 통신망을 구축하고, 이를 공동으로 활용하게 했다. 그러나 농어촌 지역의 5G 다운로드 속도는 645.70Mbps는 대도시(1121.54Mbps)에 비해 크게 느린 것으로 집계됐다.
서비스 품질 미흡 지역은 전부 고속철도 구간이었다. 전체 400개 점검 지역 중 5G 서비스 품질 미흡 지역은 3사 평균 8.3개였는데, 모두 KTX·SRT 통과 구간이었다. 품질 미흡 지역은 전송 성공률(5G의 경우 12Mbps 이상으로 전송 성공한 비율)이 90% 이하인 곳을 뜻한다. 공원·경기장 등 전국 1223개 공공장소에 무료로 제공하는 공공 와이파이(WiFi) 서비스에선 LG유플러스가 다운로드(540.67Mbps)와 업로드(576.72Mbps) 속도 모두 1위를 기록했다.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