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원·달러 환율이 연일 고공행진하고 있다. 오는 20일 미국 '트럼프 2기' 출범을 앞두고 달러 강세가 뚜렷한 가운데 비상계엄 및 탄핵 정국 여파로 원화 약세가 심화해 환율을 끌어 올리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2009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달러당 1470원까지 상승했다. 정치적 불확실성, 경기 침체 장기화 등 원화 약세 요인이 여전한 만큼 고환율 추이가 올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1450원대 '뉴 노멀'…위기의 원화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12월 19일 달러당 1450원(주간 종가 기준)을 넘어섰다. 달러가 1470원을 넘긴 것은 지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5년 9개월 만이다. 환율은 1450원을 넘긴 이후에도 상승을 지속해 같은 달 30일에는 1470원을 넘겼다.
환율이 상승하면 수입 물가가 상승해 기업의 원가 및 생산 비용 부담 증가에 따른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이 촉발된다. 원화의 구매력이 낮아진 만큼 소비자 물가도 함께 상승한다. 한국 경제에서 수출·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이 내수보다 큰 만큼, 환율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막대하다.
원·달러 환율 상승의 최대 요인은 공약으로 연방정부 재정 확대·적대적 무역 상대국에 대한 관세 인상 등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운 '트럼프 2기'에 대한 기대감이다.
앞서 시장에서는 트럼프 당선 시 연방정부 재정 확대에 따른 국채 발행 증가, 금리 인하 지연 등으로 달러 가치가 상승할 것이란 관측이 우세했다. 미 공화당과 트럼프가 지난해 11월 미국 선거에서 백악관뿐만 아니라 상·하원에서도 과반을 확보하는 '레드 스윕'을 기록한 이후 달러는 강세를 지속 중이다.
달러 강세에 주요국 통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일제히 내림세지만, 원화 가치 하락은 특히 두드러졌다.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선포 및 이에 따른 탄핵 정국 여파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확대하면서다.
주요국 통화가 지난해 11월 말과 비교해 1~3%대의 달러 대비 가치 하락을 기록한 가운데, 원화는 5%의 하락을 기록했다. 원화보다 하락률이 높은 주요국 통화는 엔화(5.2%)가 유일하다.
원화와 동조성이 높은 엔화도 약세를 지속하면서 원화 약세의 재료가 되고 있다. 원화는 통상 엔화 가치가 변동하면 이에 동조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앞서 일본은행이 지난 12월 금통위에서 금리를 3연속 동결한 가운데, 1월에도 금리 인상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확산하면서 엔화 가치는 급락하고 있다. 지난해 9월 달러당 140엔까지 하락(엔화 가치 상승)했던 엔·달러 환율은 12월 말 달러당 158엔까지 상승했다. 이는 작년 7월 '초엔저' 당시 수준이다. ◆ 불경기와 맞물린 고환율…고민 깊은 한은
통상 환율이 빠르게 상승하면 중앙은행은 통화 가치 유지를 위해 금리를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한다.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통화 가치가 높게 평가돼 환율이 하락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국은행에 있어 금리 동결은 쉽지 않은 선택이다.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내수(소비·투자) 부진이 심화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국내 소비자심리지수는 88.4를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로 소비가 크게 위축됐던 지난 2022년 11월 이후 최저치다. 소비자심리지수가 100보다 낮을수록 소비자가 경기 상황을 평균보다 나쁘게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소비 심리의 위축 속도도 빨랐다. 12월 소비자심리지수는 직전 달 대비 12.3포인트(p) 하락했는데, 이는 코로나19 발병 초기 '사회적 거리두기' 실시로 소비 심리가 크게 위축됐던 지난 2020년 3월(18.3p 하락) 이후 최대 낙폭이다.
소상공인의 부채 부담도 한계 수준이다.
신용회복위원회에 따르면 소상공인 채무조정 프로그램 '새출발기금'을 이용자 가운데 90일 이하의 연체자에게 제공되는 '중개형 채무조정'을 이용한 채무자는 1년 사이 177% 늘었다. 3달 이하의 연체에도 상환에 부담을 느끼는 소상공인이 빠르게 늘어난 것이다.
기준금리 인하가 환율 추가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지만, 시장에서는 한은이 오는 16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을 열어뒀다.
씨티그룹은 "한은은 계엄 사태에 대응해 안정적 경제성장을 최우선 과제로 인식할 것"이라며 "1월 금통위에서 0.25%p의 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크레디트아그리콜은 "한은이 오는 2월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할 가능성이 크지만, 정치적 혼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경제 지표가 악화하면 1월로 금리 인하를 앞당기는 것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라고 분석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오는 20일 트럼프 행정부 출범과 더불어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올 한해 금리 인하 속도를 조정할 것이라고 예고한 만큼, 한은이 금리 인하에 나설 경우 원화 대비 달러 강세는 당분간 더 심화할 전망이다.◆ 환율, 올 상반기 고비 될 것
전문가들은 원·달러 환율이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완만히 하락 전환할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의 정치적 불확실성 등 원화 약세 요인이 해소되고, 달러 강세에 대한 시장 기대감이 잦아들면 환율이 점차 제자리를 찾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권아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새해 들어 거래량이 평년 수준을 회복하고, 수출업체 물량 출현을 통한 은행권 단기차입을 확대하면 환율 수준도 안정화할 것"이라며 "상반기 평균 환율은 1400원대 초반으로 예상되며, 이미 높은 지금 수준에서 내년 연간으로는 '상고하저'의 궤적을 보일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전규연 하나증권 이코노미스트는 "달러는 고용에 대한 경계감이 높아지는 시점부터 완만한 속도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고, 올해 원·달러 환율 경로는 상고하저의 움직임이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며 "원화의 대내외 취약성과 미국 예외주의 지속, 무역분쟁 리스크 등을 고려하면 시점은 다소 지연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