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엄지민 앵커, 김명근 앵커
■ 출연 : 권보헌 극동대 항공안전관리학과 교수, 김성수 변호사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와이드]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그리고 지지대 형태도 논란이지 않습니까? 콘크리트 지지대에 흙으로 2~3m 둔덕을 쌓아서 올렸고, 로컬라이저, 다시 말해서 방위각 시설이 둔덕 위로 튀어나온 형태였는데 국토부 매뉴얼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있더라고요.
◆권보헌> 활주로는 보통 우리가 평지라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사실 인천공항은 다 평지죠. 활주로 반대쪽 끝과 서로 평행하면 문제가 없는데 무안공항을 설계할 당시에 평지를 만들지 못하고 한쪽이 5.6m가 높은 상태입니다. 그러다 보니까 이 로컬라이저라는 안테나에서 신호를 받기 위해서는 런웨이 일부 쪽 편에 로컬라이저를 높일 수밖에 없는 그런 상황입니다.
그러다 보니까 같은 사이즈의 로컬라이저 시설을 흙을 높여서 높이를 한 거죠. 이 로컬라이저 폴대를 높여서 했다면 이런 사고는 나지 않았을 것으로 그렇게 판단이 됩니다.
◇앵커> 그런데 지금 공항의 높이를 맞추기 위해서 어느 정도 감안한 것이다라고 하더라도 국토부 매뉴얼 보니까 안테나 토대가 지표면과 같은 높이여야 하고 또 지지대로는 연약한 지반을 선택해야 한다고 하는데 콘크리트 상당히 단단하잖아요.
◇앵커> 이것 때문에 지금 많은 분들이 둔덕만 없었더라도 조금 피해를 줄일 수 있지 않았을까 이런 안타까움이 많이 나오고 있거든요. 어떻습니까?
◆권보헌> 그 부분에 대해서는 의문사항은 있습니다. 왜 그러냐면 그 뒤쪽에 바로 활주로 외곽 벽이 있었거든요. 활주로 외곽 벽 역시 벽돌로 만들어진 것이고 또 그 벽돌에 부딪혔을 때 둔덕에 부딪힌 것과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전문적인 실험을 해봐야 알 것이고 실제 이게 300m 밖에 둔덕이 있더라도 국토부가 주장하는 이런 게 있더라도 비행기 손상은 크게 났을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물론 지금은 약 48m 앞쪽에 있기 때문에 더 큰 피해가 났겠지만 이것이 안전구역 밖에 있더라도 비행기에는 큰 손상을 입혔을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앵커> 그러면 교수님, 항공안전 전문가시잖아요. 전문가 입장에서 봤을 때 이 둔덕, 이대로 둬도 되는 건지 앞으로 이런 비슷한 사고가 났을 때 또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는데 어떻습니까?
◇앵커> 외신들에 따르면 구조물이 부서지기 쉬워야 한다는 의견도 있더라고요. 콘크리트가 없었다면 둔덕이 있어도 되는 상황 아니겠습니까?
◆권보헌> 흙이 어떤 정도로 단단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겠죠. 그렇지만 흙도 비를 맞고 하면 단단해지지 않습니까? 그런데 그 높이가 기준으로 7.5cm, 거의 바닥과 마찬가지가 되어야 하는데 이 둔덕 부분도 사실은 깎아야 되는 부분이고 한편으로는 이번 사고가 컸던 이유는 랜딩기어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항공기체가 더 낮았죠. 그렇기 때문에 부딪히는 임팩트가 더 컸던 것으로 이렇게 판단이 됩니다.
대담 발췌: 이선 디지털뉴스팀 에디터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
소리 없이 보는 뉴스 [자막뉴스] 〉
■ 출연 : 권보헌 극동대 항공안전관리학과 교수, 김성수 변호사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와이드]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그리고 지지대 형태도 논란이지 않습니까? 콘크리트 지지대에 흙으로 2~3m 둔덕을 쌓아서 올렸고, 로컬라이저, 다시 말해서 방위각 시설이 둔덕 위로 튀어나온 형태였는데 국토부 매뉴얼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있더라고요.
◆권보헌> 활주로는 보통 우리가 평지라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사실 인천공항은 다 평지죠. 활주로 반대쪽 끝과 서로 평행하면 문제가 없는데 무안공항을 설계할 당시에 평지를 만들지 못하고 한쪽이 5.6m가 높은 상태입니다. 그러다 보니까 이 로컬라이저라는 안테나에서 신호를 받기 위해서는 런웨이 일부 쪽 편에 로컬라이저를 높일 수밖에 없는 그런 상황입니다.
그러다 보니까 같은 사이즈의 로컬라이저 시설을 흙을 높여서 높이를 한 거죠. 이 로컬라이저 폴대를 높여서 했다면 이런 사고는 나지 않았을 것으로 그렇게 판단이 됩니다.
◇앵커> 그런데 지금 공항의 높이를 맞추기 위해서 어느 정도 감안한 것이다라고 하더라도 국토부 매뉴얼 보니까 안테나 토대가 지표면과 같은 높이여야 하고 또 지지대로는 연약한 지반을 선택해야 한다고 하는데 콘크리트 상당히 단단하잖아요.
◆권보헌> 맞습니다. 그래서 표면과 같은 높이로 하고 폴대를 높여야 되는데 그 폴대를 높이지 않고 둔덕을 만들어버린 것이죠. 이게 시설 기준에 어긋나는 부분이 되겠습니다.
◇앵커> 이것 때문에 지금 많은 분들이 둔덕만 없었더라도 조금 피해를 줄일 수 있지 않았을까 이런 안타까움이 많이 나오고 있거든요. 어떻습니까?
◆권보헌> 그 부분에 대해서는 의문사항은 있습니다. 왜 그러냐면 그 뒤쪽에 바로 활주로 외곽 벽이 있었거든요. 활주로 외곽 벽 역시 벽돌로 만들어진 것이고 또 그 벽돌에 부딪혔을 때 둔덕에 부딪힌 것과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전문적인 실험을 해봐야 알 것이고 실제 이게 300m 밖에 둔덕이 있더라도 국토부가 주장하는 이런 게 있더라도 비행기 손상은 크게 났을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물론 지금은 약 48m 앞쪽에 있기 때문에 더 큰 피해가 났겠지만 이것이 안전구역 밖에 있더라도 비행기에는 큰 손상을 입혔을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앵커> 그러면 교수님, 항공안전 전문가시잖아요. 전문가 입장에서 봤을 때 이 둔덕, 이대로 둬도 되는 건지 앞으로 이런 비슷한 사고가 났을 때 또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는데 어떻습니까?
◆권보헌> 이 둔덕은 반드시 없애야 되는 부분이고 지금 무안공항 같은 경우에는 실제 외곽 벽이 굉장히 가깝습니다. 거의 300m 조금 더 될 거예요. 그래서 이런 부분을 위해서는 만약에 구역이 넓다면 문제가 안 되겠지만 좁은 구역 같은 경우에는 EMAS라는 설치를 해서 비행기가 충분히 감속을 시킬 수 있는 그런 시설을 갖춰야 할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앵커> 외신들에 따르면 구조물이 부서지기 쉬워야 한다는 의견도 있더라고요. 콘크리트가 없었다면 둔덕이 있어도 되는 상황 아니겠습니까?
◆권보헌> 흙이 어떤 정도로 단단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겠죠. 그렇지만 흙도 비를 맞고 하면 단단해지지 않습니까? 그런데 그 높이가 기준으로 7.5cm, 거의 바닥과 마찬가지가 되어야 하는데 이 둔덕 부분도 사실은 깎아야 되는 부분이고 한편으로는 이번 사고가 컸던 이유는 랜딩기어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항공기체가 더 낮았죠. 그렇기 때문에 부딪히는 임팩트가 더 컸던 것으로 이렇게 판단이 됩니다.
대담 발췌: 이선 디지털뉴스팀 에디터
#Y녹취록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
소리 없이 보는 뉴스 [자막뉴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