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광주학동붕괴참사 유가족도 찾아
3일 오후 제주항공 참사 유족들이 모여 있는 무안국제공항 합동분향소를 찾아 애도 후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1.3/뉴스1 ⓒ News1 박지현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무안=뉴스1) 박지현 기자 = 이태원참사 유가족을 비롯한 사회적참사 피해 유족들이 무안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들의 합동분향소를 찾아 희생자들의 넋을 기렸다.
이태원참사 유가족 20여 명은 3일 오후 2시 50분쯤 제주항공 참사 유족들이 모여 있는 무안국제공항 합동분향소를 찾았다.
검은색 차림에 보라색 목도리를 착용한 유가족들은 무거운 표정으로 합동분향소에 들어가 위패와 영정에 헌화와 묵념했다.
눈시울이 붉어진 채 손수건으로 눈물을 훔치며 공항 2층에 위치한 유가족비상대책위원회 사무실에서 유가족대표단과 20분간 면담했다.
이 위원장은 "지금 상황에 유가족들은 일어난 상황이 믿어지지 않아 누가 어떤 말을 해도 귀에 들어오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안다"며 "그럼에도 사랑하는 가족을 잃은 마음을 알아서 따뜻한 말이라도 한마디 하러 왔다"고 했다.
또 "참사 발생 얼마되지 않았는데 2차 가해가 난무해 경악을 금치못하고 있다. 기사를 낼 때 제발 댓글창을 닫아달라"고 당부했다.
이 위원장은 "(제주항공 희생자들의)시신 훼손이 심하다고 들었다. 가족 품으로 돌아가서 장례를 치르도록 하고, 다른 대책이 필요할 때 도움을 줄 수 있으면 드리겠다"고 말했다.
이태원 유가족들은 이후 사고가 일어난 현장 근처를 버스를 타고 둘러보는 것으로 일정을 마친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발생 나흘째인 1일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에 마련된 합동 분향소에 세월호 유가족이 조문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1.1/뉴스1 ⓒ News1 김성진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앞서 지난 1일에는 4·16 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30여 명이 무안국제공항 합동분향소를 찾아 희생자들의 영면을 빌었다.
이들은 새해를 맞아 세월호 선체가 있는 전남 목포신항에 방문한 후 공항을 찾았다.
다만 가족의 시신을 인도받지 못하는 유족들을 배려해 조용히 분향하는 것으로 조문을 마쳤다.
광주 학동 붕괴 참사를 비롯해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유족들도 지난 1일 합동분향소를 다녀간 것으로 알려졌다.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