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공공기관 1회용품 사용 줄이기 실천지침’ 개정훈령 행정예고
공공기관장이 자율적으로 1회용품 사용금지 또는 반입 제한
[123RF]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지방자치단체가 공공기관의 일회용품 줄이기 실적을 업무 평가에 반영한다. 중앙 정부에 이어 지자체까지 관련 실적을 평가에 반영하면서 공공기관에 일회용품 사용 제한을 사실상 의무화했다.
6일 환경부에 따르면 최근 ‘공공기관 1회용품 등 사용 줄이기 실천지침’ 개정훈령이 행정 예고됐다.
지침 제3조에 제1항에 ‘공공기관의 장은 1회용품 품목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공공기관 내 사용을 금지하거나 반입을 제한할 수 있다’는 내용을 신설했다.
환경부는 “훈령의 주요 내용이 단순 권고 형식으로 돼 있어 공공기관의 1회용품 줄이기 자발적 이행 가속화를 위한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고 개정 이유를 밝혔다.
앞서 정부는 일회용컵 보증금제의 전국 확대 시행을 중단한 바 있다. 일회용컵 보증금제는 카페에서 일회용 컵에 음료를 받으려면 보증금 300원을 내도록 하고 컵을 반납하면 돌려주는 제도이다.
당초 전국적으로 시행할 계획이었으나 2022년 12월 제주와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에서 축소 시행됐고, 2023년 11월 환경부가 일회용품 규제를 완화하면서 두 지역마저도 제도 시행이 중단됐다.
당시 환경부는 일회용품 사용을 민간 자율에 맡기겠다며 획일적인 일회용품 규제에서 벗어나 ‘수용성 높은 방안’을 만들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