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8 (수)

[위기의 LCC] 지방공항 연 1600만명 시대...항공업계 LCC 포비아에 '벌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해외여행 일상화, 코로나 극복 후 보복여행 수요 증가...지방공항 여객 폭발 증가

지방 직항 노선 확대는 LCC 비즈니스 모델, 난립한 지방공항 상호 '윈윈'

항공기 관리 부실하고 공항 운용 미비한데 무리한 확장 화 불렀나

아주경제

무안공항 사고 여객기 동체 (무안=연합뉴스) 조남수 기자 =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6일째인 3일 오후 전남 무안국제공항 사고 현장에서 동체의 꼬리날개 부분 인양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달 29일 발생한 무안공항 참사로 인해 국내 LCC(저비용항공사) 시장이 급격하게 위축될 위기에 놓였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해외여행이 다시 활기를 되찾고, 한류 관광으로 해외 여행객들의 지방공항 이용도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번 사고는 국내 항공 산업 전체의 위기로 번질 수도 있다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연간 약 1600만명 이상이 이용하는 지방공항과 항공기 전반에 대한 안전관리 체계가 이번에 제대로 정립되지 않는다면 LCC는 물론 국내 항공 산업의 침체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6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이번 참사로 인해 LCC 업계의 올 1분기 피해 규모는 약 5000억원으로 추산된다. 제주항공, 진에어, 에어부산, 티웨이, 이스타항공 등 LCC 7곳의 1분기 매출 평균과 현재까지 집계된 항공권 취소율, 3월 말까지 예정된 감축운영(10~15%) 등을 종합해 산출한 대략적 금액이다. 항공권 취소는 현재 진행형이고, 올해 설 맞이 관광업계 여행상품 취소율도 평년보다 30~40% 늘어난 상황이라 피해 규모는 앞으로 더 커질 수 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항공권은 보통 3개월 전부터 오픈하는데 연말연시 예약이 1분기 영업의 전부로 봐도 사실상 무방하다"면서 "국가애도기간과 항공기 안전성이 도마에 오르면서 사실상 3월말까지 영업은 공쳤다"고 말했다. 관광업계 관계자도 "여객기 참사 후 설 연휴 패키지 상품 취소율이 작년보다 40% 증가했다"면서 "하루에만 4500건이 취소된 여행사도 있는데 분위기 탓에 곡소리도 못 낸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고 원인을 폭증한 항공 수요를 사회적 인프라와 안전시스템이 뒷받침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분석한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 힘겨운 보릿고개를 경험한 LCC들이 무리하게 운항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안전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고, 또 늘어난 여행 수요 대응에 급급해 지방공항이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하게 국제선 운항을 시작했다는 설명이다.

실제 국토교통부 항공정보사이트 에어포탈에 따르면 지난해 인천을 제외한 7곳의 지방공항(김포·김해·제주·대구·청주·무안·양양) 국제선 항공편 여객수는 1684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280만명보다 31.6% 증가했다. 같은기간 인천공항의 국제선 여객수는 5552만명에서 6399명으로 15.2% 증가했다. 지방항공 이용객 증가율이 인천공항보다 두 배 이상 높았던 셈이다. 지방공항을 거점으로 삼는 LCC 업계는 이 기간 청주~다낭·방콕·나트랑, 무안~울란바토르 등 지방 직항노선을 공격적으로 개척했다.

안타깝게도 참사는 LCC와 지방공항 운영의 총체적인 부실을 드러냈다. 현재 7곳 LCC 가운데 3곳은 완전자본잠식, 7곳의 지방공항 중 4곳은 적자 상태다. 적자가 누적되면서 LCC 업계는 안전관리비 절약을 위해 인건비가 저렴한 중국에 항공 정비를 맡기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LCC 포비아 확산과 함께 국내 유일의 FSC(대형항공사)인 대한항공의 독과점 문제, 서비스 하향 평준화, 관광산업 후퇴 등 산업 경쟁력 전반이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항공산업 경쟁력의 근간은 경쟁인데 지금 같은 분위기에서 누가 LCC를 이용하겠냐"면서 "서비스는 타협할 수 있어도 안전은 절대 타협할 수 없다는 LCC의 정신을 다시 되새겨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공격적인 운영 대비 소극적인 안전 투자가 항공기 결함으로 이어지진 않았는지 철저하게 조사하고, 재발대책을 강구해야 전 국민적인 항공기 트라우마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주경제=한지연 기자 hanji@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