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왼쪽)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AF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트뤼도 총리는 7일(현지시간) 오후 엑스(X·옛 트위터) 계정에 올린 글에서 "캐나다가 미국의 일부가 될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밝혔다. 그는 "양국의 근로자와 지역사회는 서로의 가장 큰 무역·안보 파트너가 될 때 이익을 얻는다"고 양국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트뤼도 총리의 후임 후보 중 한명으로 꼽히는 멜라니 졸리 캐나다 외무부 장관 역시 "(미국에 캐나다를 편입해야 한다는) 트럼프의 발언은 캐나다를 강한 나라로 만드는 요소가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가 완전히 부족함을 보여준다"며 "우리 경제는 강하다. 우리 국민은 강하다. 우리는 위협에 맞서 결코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캐나다 제1야당인 보수당의 피에르 폴리에브 대표 역시 "캐나다는 결코 (미국의) 51번째 주가 될 수 없다"며 "우리는 위대하고 독립적인 국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는 트럼프 당선인이 이날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자택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캐나다와 미국 간 국경을 "인위적으로 그어진 선"이라고 평가하며 캐나다의 미 편입 가능성을 재차 언급한 데 따른 것이다. 이 자리에서 트럼프 당선인이 파나마 운하, 덴마크령 그란란드 문제와 관련해 군사력 사용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자, 캐나다에 대한 질문이 이어졌다. 이에 트럼프 당선인은 "아니다(군사력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다). '경제적 강압'을 사용할 것"이라고 답했다.
트럼프 당선인이 언급한 경제적 강압은 앞서 예고한 고율 관세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그는 이날도 "캐나다와 미국이라면 정말 대단할 것"이라며 "인위적으로 그어진 선을 없애고 그게 어떤 모습인지 살펴보면 국가안보에도 훨씬 더 좋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국의 상품 수입 규모는 2023년 기준으로 약 3조1000억달러 규모며 캐나다는 이 가운데 약 3분의1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고율 관세 위협에 직면한 캐나다는 전날 트뤼도 총리의 사임 발표로 정국 불확실성이 한층 커진 상태다. 특히 트뤼도 총리가 사임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트럼프 당선인의 백악관 복귀가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앞서 트뤼도 총리는 캐나다산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트럼프 당선인의 위협에 즉각 마러라고 자택으로 달려갔으나, 만찬 자리에서 "미국의 51번째 주가 돼라"는 말을 들은 것으로 전해졌다.
캐나다 CTV 뉴스는 "당시 캐나다 당국자들은 트럼프의 발언을 조롱으로 여겼지만, 그는 이후에 이 구상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기 시작한 것 같다"면서 "트럼프는 트뤼도를 '주지사'라고 부르며 캐나다가 미국으로부터 2000억달러 보조금을 받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이 숫자가 무엇을 언급하는지는 불분명하다"고 짚었다.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캐나다의 정치적 전환 결과가 어떻게 되든, 트뤼도의 사임으로 캐나다 정국은 장기간의 불확실성에 빠졌다"며 "취임을 앞둔 트럼프는 캐나다를 정조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전날 트뤼도 총리가 당 대표 및 총리직 사임을 발표한 직후에도 트루스소셜을 통해 "캐나다의 많은 사람은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고 밝혔다. 그는 캐나다가 미국에 합병되면 러시아와 중국 선박의 위협으로부터 안전해질 것이라며 "함께라면, 얼마나 위대한 국가가 될까"라고 썼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