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10 (금)

'전세대출 보증비율' 90%로 떨어진다면?…"금리 인상·한도 축소 불가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세대출 '100% 보증' 사라진다…은행 "신용 심사 더 까다롭게"

금리·한도에도 영향…전문가들 "가계부채 관리 위해 필수적"

뉴스1

/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근욱 기자 = 정부가 이르면 올해 1분기 '전세대출 보증비율'을 최대 100%에서 90%로 낮추기로 발표하면서 대출 금리와 한도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소비자가 은행에 전세대출을 신청하면 이른바 '3대 보증기관'이 100% 보증을 제공하던 것을 90%로 낮춘다는 의미로, 은행 입장에선 일종의 '리스크'가 생긴다.

은행권 관계자들은 "보증비율이 낮아지면 금리는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대출 한도에 영향을 줄 가능성도 작지 않다. 다만 금융권 전문가들은 한국 경제의 뇌관으로 꼽히는 가계부채를 안정화하기 위해선 '전세대출 제도 수술'은 불가피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전세대출 보증비율, 100→90%로

금융위는 8일 오후 '주요 현안 해법회의' 형식으로 진행한 업무보고를 통해 전세대출 보증 비율을 90%로 일원화하고, 수도권에 한해서는 추가 인하를 검토한다고 밝혔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지난 7일 진행된 브리핑에서 "빠르면 1/4분기 중에 시행할 수 있게 관계부처 협의는 마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전세제도는 한국에만 있는 주택 임대 방식으로, 과거 은행에서는 제도상 허점이 있다는 판단해 전세대출 취급을 꺼렸다. 이에 정부는 서민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주택도시보증기금(HUG), 서울보증보험(SGI), 한국주택금융공사(HF) 등 3대 보증기관을 통해 전세금에 대한 보증을 제공하고 있다.

문제는 정부가 전세대출 보증 비율을 100%로 설정하면서 '너무 받기 쉬운' 대출이 됐다는 것이다. 은행들은 소비자의 대출 상환 능력을 제대로 심사하지 않고 쉽게 대출을 내어주게 됐다. 전세대출의 확대는 가계부채 문제뿐만 아니라 '무자본 갭투자' '전세사기' 등의 문제로도 이어졌다.

권 사무처장은 "전세대출은 국민들의 주거 안정 측면에서 필요한 제도지만 차주의 상환 능력 심사 없이 대출이 실행되고 있어 불완전한 제도"라며 "100% 보증이 정상적인 상황은 아니기 때문에 전세대출 규제를 강화한다기보다 제도를 정상화하는 과정으로 봐달라"고 덧붙였다.

뉴스1

2024.12.30/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은행권 "금리·한도 영향 불가피"

정부의 제도 변경에 은행권 관계자들은 "보증비율 인하는 대출 금리와 한도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1억원의 전세대출에 디폴트(채무불이행)가 발생할 경우 지금까지 보증기관이 전액을 모두 은행에 갚아줬다면, 앞으로는 9000만원만 갚아주고 1000만원은 은행이 책임져야 하기 때문이다.

결국 은행 입장에서는 대출 소비자의 신용도를 더 까다롭게 심사할 수밖에 없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차주가 전세 대출을 갚지 않을 위험도를 계산해 반영하면 금리는 당연히 오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권 사무처장도 "금리가 올라가는 것은 시장 원칙상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대출 한도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예컨대, 1억 원의 전세대출 신청 시 9000만원은 보증기관의 보증으로 받는다면, 1000만원은 '개인 신용'으로 받는 구조다. 이에 차주가 다른 신용대출을 받을 때 한도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 "가계부채 관리 위해 불가피"

다만 금융권 전문가들은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전세제도 수술은 불가피하다" 강조한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전세대출 보증비율 인하는 정부가 가계부채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약한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전세대출에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도, 쉽지 않으면 보증비율이라도 낮춰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윤수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는 '전세보증제도의 점진적 폐지'를 주장한다. 이 교수는 정부의 전세대출 보증이 주거 안정에는 기여하고 있지만, 의도와 다르게 전세가격 안정화와 가계부채 건전성 유지에 모두 실패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전세대출 확대로 갭투자가 증가하고, 전세 가격을 올리는 악순환이 이어진다고 말했다.

ukgeu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