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9 (목)

전광판처럼 보였는데 종이… ‘영상 설치’의 묘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송예환 개인전 ‘인터넷 따개비들’

종이 활용 디지털 기술 표현한 작품

독특한 형태-쉬운 영상으로 차별화

동아일보

송예환의 작품 ‘따개비들’(2025년). 지갤러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요즘 미술계에선 영상 매체와 디지털 기기를 어릴 때부터 접했던 한국의 20, 30대 작가들이 첨단 기술을 활용해 만든 미디어 작품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다. 작가들은 화려한 화면 효과 혹은 편집 기술로 기존 작품과 차별화를 시도하는 경우가 많다.

송예환 작가는 영상을 설치하는 방식부터 다르게 해 주목받는다. 8일 개막한 서울 강남구 지갤러리의 개인전 ‘인터넷 따개비들’과 미술관 송은의 ‘제24회 송은미술대상전’(지난해 12월 17일 개막)에서 선보인 작품들은 신선하고 독특해 관람하는 재미가 작지 않다.

‘따개비들’을 비롯한 송 작가의 작품들은 얼핏 보면 조그마한 전광판이 다닥다닥 모여 영상을 송출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가까이서 보면 영상은 천장의 빔프로젝터에서 투사된 것이다. 전광판처럼 보이는 패널은 종이를 조립해 만든 조각이다. 웹 디자이너로도 일했던 작가가 온라인 공간을 코딩으로 만들었던 경험을 살려 오프라인 공간에서 종이를 차곡차곡 쌓고, 영상의 위치를 계산해 만들어 낸 결과물이다.

6일 개인전에서 만난 송 작가는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및 사용자 경험(UX) 디자이너로 일하면서 ‘사용자 친화적’인 서비스를 개발한다고 생각했는데, 이게 정말 사용자를 친구처럼 위하는 것인지 의문이 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내 작품은 온라인 플랫폼이 정한 방향대로 세상을 보고 물건을 구매하는 인터넷 환경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고 설명했다.

작가는 ‘정보의 바다’라는 표현처럼 인터넷 공간을 물에 비유해 작품에 ‘따개비’나 ‘소용돌이치는 물’ 같은 형태를 차용한다. 그러나 그것을 구성하는 종잇조각은 격자무늬에 갇혀 자유롭기보다는 꽉 짜였고, 체계적이다. 여기에 스마트폰을 조작하는 사람의 손 모양, 입술에서 나온 말이 미끄러져 소용돌이 속으로 떨어지는 영상을 담아 작가의 문제의식을 표현했다.

송 작가는 국립현대미술관의 신진 작가 지원 프로그램 ‘젊은 모색’에도 참여할 예정이다. 지갤러리와 미술관 송은의 전시는 각각 2월 15일, 2월 22일까지 열린다.

김민 기자 kimmin@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