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10 (금)

자금난 임계점 도달…“달라진 건 아무것도 없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신동아건설 법정관리 ‘후폭풍’

다시 커지는 ‘건설업계 위기론’

경향신문

신동아건설이 지난 6일 서울회생법원에 기업 회생절차 개시 신청서를 접수했다. 재판부는 이르면 이달 중 보전처분과 포괄적 금지명령 등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7일 서울 용산구 이촌동 신동아건설 본사 모습.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급 효과 적어 주목 못 받을 뿐
지방 중소·중견 업체 줄도산 계속
미분양 ‘레드라인’ 6만가구 상회
주택 가격 회복 안 되면 ‘위태’

지난해 4월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개시 이후 한동안 잠잠했던 ‘건설업계 위기설’이 신동아건설 법정관리 신청으로 또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하지만 건설업계는 ‘새삼스럽다’는 반응이다. 파급 효과가 크지 않다는 이유로 주목을 받지 못했을 뿐, 수도권 외곽이나 지방을 근거지로 둔 중소·중견 건설사는 계속해서 무너지고 있었다는 것이다.

2022년 이후 3년 넘게 이어진 건설업계의 자금난이 ‘임계점’에 다다랐다는 분석도 나온다.

9일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신동아건설이 관련된 제2금융권의 익스포저(위험노출액)는 총 1202억원으로 집계됐다. 각각 증권사 53억원, 캐피털 573억원, 저축은행 43억원, 부동산신탁 533억원이다. 지난해 말 워크아웃을 신청한 태영건설(1조6000억원)의 10분의 1 수준이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직접 일으켜 자체 시행 사업을 다수 벌였던 태영건설과 달리, 신동아건설은 단순 도급계약이 주를 이룬다. 현재 시공 중인 주택건설사업장 7곳(2899가구)도 모두 한국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분양 보증에 가입돼 있다. 3개월 이상 공사가 지연될 경우 HUG가 중도금을 대신 환급해 주거나 시공사를 교체해 공사를 이어갈 수 있다는 뜻이다.

신동아건설과 비슷한 규모의 다른 건설사들도 상황이 다르지 않다. 2022년 강원중도개발공사 기업회생신청(레고랜드 사태)이 촉발한 건설경기 침체와 유동성 고갈은 벌써 3년째 이어지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신동아건설이 공사를 하고 받지 못한 미수금은 2021년 931억원에서 2022년 1056억원, 2023년 2146억원으로 급증했다. 인천 검단신도시 파밀리에 엘리프 등에서 대규모 미분양이 발생한 것이 원인이다. 2022년 349.26%였던 신동아건설의 부채비율은 2023년 말 428.75%까지 올랐다.

2022년 이후 전국 미분양 물량은 국토교통부가 ‘레드라인’으로 설정한 6만가구를 상회하고 있다. 김성환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해 초부터 서울·수도권 핵심지역을 중심으로 주택가격이 상승하긴 했지만, 핵심지에 진입하지 못하는 중견 건설사들의 체감 경기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건설업체 부도 건수는 2021년 12곳, 2022년 15곳, 2032년 21곳, 2024년 29곳으로 4년 연속 증가세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실장은 “규모가 상대적으로 컸던 태영건설은 정부가 나서서 유동성을 공급했기 때문에 위기설이 잠잠해졌을 뿐, 지방 건설사들의 줄도산은 계속되고 있었다”며 “이제는 신동아건설과 비슷한 규모의 중견건설사들까지 안전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앞서 부동산 PF 위기를 겪은 롯데건설, 태영건설도 대출만기 연장 등으로 부실을 이연시켜둔 것일 뿐, 본질적 해결이 된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나왔다.

황보창 한국기업평가 연구위원은 “본질적인 문제는 건설경기가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에 목표 가격을 지나치게 높게 잡고, 토지도 비싸게 매입한 것”이라며 “주택 가격이 2021년 최고점 수준 이상을 회복하지 않는 한 위기가 완전히 해소되긴 어렵다”고 말했다.

심윤지 기자 sharpsim@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