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감독 권한 보장해야"
서울시교육청은 13일 이같은 내용의 교육부 시행령 개정안에 대해 "시교육청은 의견을 달라한다"며 "교육청의 자사고 관리 감독 권한을 약화시키는 조치로 시행령 개정안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앞서 교육부는 지난 7일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을 입법예고했다. 시행령은 거짓이나 부정 회계 집행, 부정 학생 선발 등 교육감이 자사고를 수시 취소할 수 있는 규정 3개를 삭제했다. 2020년 서울 휘문고 자사고 지정 취소 소송 판결에 따른 개정으로 해석된다. 시교육청은 2020년 횡령 사건 등을 이유로 휘문고의 자사고 지위를 박탈했는데, 휘문고가 소송에 나서 2심에서 승소했다. 법원은 "위임 입법의 한계를 벗어나 효력이 없는 시행령을 근거로 한 이 사건 처분은 부당하다"고 판결했다. 시행령에는 자사고 지정 취소 사유를 규정했지만, 모법에는 지정에 대한 부분만 명시된 점을 짚은 것이다.
시교육청은 이에 모법인 초·중등교육법에 자사고 지정취소 등 근거를 담을 수 있도록 교육부에 요청했지만, 교육부는 시행령에 담긴 취소 요건을 삭제했다고 주장했다. 시교육청은 입장문에서 "지난해 교육청의 자사고 관리 및 지정취소에 대한 명백한 법적 근거를 담아 초·중등교육법을 개정하고, 시행령을 개정된 상위법에 맞게 정비하는 법령 개정을 교육부에 요청했다"며 "그럼에도 교육부는 초·중등교육법 개정 없이 시행령 내에 있는 자사고 수시 지정 취소 요건만을 삭제하는 편의적 방법을 택해 교육청의 자사고 관리 감독 권한을 약화시켰다"고 했다.
또 시교육청은 자사고가 공공성, 사회적 책무성을 강조할 법적 기반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다. 시교육청은 "교육부가 초·중등교육법에 자사고 지정 및 취소 등을 포함한 운영 조항을 명확히 규정하고 이에 근거한 시행령 정비를 통해 자사고에 대한 교육청의 관리 감독 권한을 확실하게 보장해 줄 것을 거듭 요청한다"고 전했다.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