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총재는 비상계엄 사태 이후 한덕수 총리 탄핵과 윤석열 대통령 체포 과정에서 있었던 잡음이 한국 대외 신인도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떨어진 경제성장률을 보완하기 위해 15조~20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 편성도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이재명 대표가 내세우는 전국민 재난지원금보다 자영업자 선별 지원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Q : 경기보다 환율을 더 의식해 기준금리를 동결했나
Q : 최근 정치 상황 때문에 경제성장률 전망 낮추나
Q : 추경 필요성과 규모 시기·방법은
A : 지금은 성장률이 이제 잠재성장률 밑으로 떨어졌기 때문에 당연히 추경이 필요하다. 재정 당국에서 결정하겠지만 (비상계엄으로) 경제성장률이 0.2%포인트 정도 떨어졌다면, 그 정도를 보완하는 규모로 15조원에서 20조원 정도 (추경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겠느냐. 시기는 가급적 빨랐으면 좋겠다. 자영업자가 어렵기 때문에 추경한다는 건데, 전 국민 대상으로 무차별 지원을 하는 것보다 자영업자를 타깃 해서 지원하는 거는 당연한 것 아닌가.
Q :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횟수가 줄어들면 영향은
Q : 대외 신인도 관련해 최근 정치 상황이 어떤 영향 줬나
A : 두 번의 대통령 탄핵 사례가 있었고, 경제적 충격은 제한적이었다고 신용평가사와 해외 언론에도 설명 많이 했었다. 하지만 총리 탄핵이 있고, 대통령 영장 집행 과정이 전 세계 뉴스에 나가다 보니까, 정치와 경제 분리돼서 잘 간다고 그랬는데 ‘안 되는 거 아니냐’고 전화 많이 온다. 어제 사태(대통령 체포)를 계기로 해외에 ‘경제 정책이 정상적으로 집행될 거다’ 이런 얘기를 계속할 건데, 잘 받아들여지면 문제가 없고 안 받아들여지면 또 한 번의 충격이 있을 것이다. 국회에서 여·야·정 협의회 얘기를 하고 있는데 정치는 합의 보기 어려워도 경제 문제만큼은 빨리 진행될 수 있도록 여·야·정 협의회를 (정치와 경제) 2티어로 나눌 필요가 있다.
Q : 정치 상황에 대한 이 총재 언급이 적절치 않다는 시각 있다
김남준 기자 kim.namjun@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