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기획재정부 재정경제금융관(재경관) 오찬 간담회'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기획재정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6일 기획재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최 권한대행은 설 연휴 서울 자택에서 휴식을 취하기로 했다. 지난달 27일 권한대행직을 맡은 이후로 4주 넘게 강행군을 이어오면서 피로가 누적된 점을 고려했다. 최 권한대행은 지난 연말 발생한 여객기 참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까지 겸하면서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직무대행·경제부총리에 더해 ‘1인 4역’을 맡아왔다.
한 기재부 관계자는 “보통 공식 행사가 없는 토요일에도 비공개 일정을 소화한 것으로 안다”며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약 두 달간 사실상 휴일 없이 강행군했다”고 말했다. 통상 현직 대통령은 명절 기간에 정치 지형과 맞물린 정국 구상에 초점을 맞춘다. 최 권한대행은 ‘경제 컨트롤타워’로서의 본래 역할에 무게를 두고 민생·경제 현안을 두루 살핀다는 구상이다.
당장 눈앞의 난제는 추경이다. 최 권한대행은 지난 21일 국무회의에서 “추가 재정 투입에 대해 국회·정부 국정협의회가 조속히 가동되면 함께 논의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를 두고 당초 예산 조기 집행에 방점을 찍었던 정부의 기류가 바뀐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왔다. 기재부는 곧장 “검토하지 않는다”고 진화에 나섰다.
야당이 단독으로 처리한 내란 특검법에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할 것인지도 판단해야 한다. 내란 특검법은 지난 18일 정부로 이송돼 2월 2일까지 공포하거나 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 앞서 최 권한대행은 “여야가 합의해 위헌 요소가 없는 특검법을 마련해달라”고 요구했다. 야당은 여당 요구를 반영했다는 입장이지만 국민의힘은 ‘독소 조항이 여전하다’며 반발하고 있다. 연휴 내에 여야 합의가 사실상 어렵다고 보면 최 권한대행이 또다시 거부권 행사에 나설 거란 관측이 우세하다. 이르면 31일 임시 국무회의에서 결정할 전망이다.
단기적으로 주목하는 이벤트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결정이다. 한국시간으로 연휴 마지막 날(30일) 새벽 발표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금리 인하를 압박하는 발언을 내놓고 있지만, 시장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거로 보고 있다. 26일 현재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이번 FOMC에서 금리를 동결할 확률은 97.9%다.
다만 비상계엄 후폭풍으로 한국 경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증폭됐다는 건 취약한 지점이다. 이 때문에 최 권한대행은 FOMC 결과가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 등을 면밀히 점검할 것을 관계부처에 지시했다. 이와 함께 통상 미 FOMC 일정에 맞춰 소집되는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관련 메시지를 내놓을 전망이다.
세종=장원석 기자 jang.wonseok@joongang.co.kr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