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안전조치에도 사고 공포…"컨설팅비 부담·해결도 안 돼"
"설비·인력 보강에 수천만 원 든다…정부 지원 실효성 논란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원메쎄에서 열린 50인 미만 사업장 중대재해처벌법 유예 촉구 결의대회 ⓒ News1 이재명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안전 중요한 거 알죠. 안전관리책임자를 고용하는 데만 수천만 원을 쓰고 있어요. 그래도 예기치 못한 사고는 어쩔 도리가 있나요. 특히 요즘같이 먹고 살기 급급할 때는 사정을 좀 봐달라는 거죠. 지원도 좀 해주고 준비할 시간도 충분히 달라는 겁니다."
(서울=뉴스1) 이민주 기자 = 충남에서 상시근로자 50인 미만의 건설회사를 운영하는 김모 대표는 <뉴스1>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중대재해법) 확대 시행으로 인한 애로를 토로했다.
지난해 1월 27일부터 상시근로자 5인 이상의 모든 사업장에 중대재해법이 확대 시행된 지 1년이 흘렀다. 국회에서 50인 미만 사업장에 대한 법 적용 유예가 논의됐지만 번번히 본회의 문턱을 넘지 못하면서 중소기업 전 업종에 중대재해법이 적용되고 있다.
"매출 5% 써야 한다"…안전관리자 선임비만 수천만 원
법에서는 사업주가 종사자의 안전과 보건상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사업장의 특성과 규모를 고려한 재해예방 필요 인력(안전보건관리자)과 예산,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50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 20인 이상의 제조업, 임업, 하수·환경·폐기업 등 5개 업종은 안전 전문인력을 선임해야 한다.
안전관리의 책임을 가진 대표가 불의의 사고를 우려해 매분 매초 근로자를 감독할 수도 없는 만큼 전담 안전관리자 선임을 고려하고 있지만 주머니 사정이 빠듯해 언감생심이라는 반응이다.
이미 안전보건관리자를 고용하고 있는 기업들은 비용으로 수천만 원에서 많게는 수억 원을 쓰고 있다고 토로했다.
정부가 안전 대응에 부담을 느낄 중소기업을 위해 보완책으로 '공동안전관리자 제도'를 도입했지만 중소기업의 외면은 여전한 분위기다. 공동안전관리자란 인력·예산 부족 및 전문성 부족 등 안전보건관리 여력이 부족한 소규모 기업들이 지역·업종별 협·단체를 통해 공동으로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고용노동부 등 정부가 운영비 일부를 지원한다.
하지만 우재준 국민의힘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 공동안전관리자 지원 사업 채용률은 50.8%다. 업계는 공동안전관리자 제도가 외면받는 큰 원인으로 높은 안전관리자 몸값을 꼽았다.
중소기업중앙회 광주전남지역본부가 18일 오후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중소기업대표 1000여명이 함께한 가운데 '50인미만 소규모 사업장에 대한 중대재해처벌법 유예촉구 결의대회를 갖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4.2.19/뉴스1 ⓒ News1 김태성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언제 사고 날지 알고 대비하냐"…공포감에 현장 마비
경북에서 금형제조업을 영위하는 한모 대표는 "컨설팅도 받고 안전 교육도 철저히 하고 있지만 예기치 못한 사고는 어찌할 도리가 없다. 조치를 하고도 법이 모호해 처벌받을 수 있다는 생각에 불안하다"며 "금형을 맞추다 보면 위험한 작업을 하게 된다. 망치로 작업을 하다 크게 부상을 당하거나 하는 사고는 아무리 의무를 다해도 발생할 수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안전 조치를 얼마나, 어떻게 해야 하는지 가이드가 명확하지 않은 점도 중소기업들을 불안에 떨게 만든다.
중소기업계가 모호하다고 지적하는 부분은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과 관련한 부분이다. 고용노동부는 관리체계 구축 핵심요소로 △경영자 리더십 △안전보건 인력·예산 배정 △유해·위험요인 파악 및 개선 △안전보건관리체계 점검·평가 등을 제시하고 있으나 내용이 당위성에 치중돼 있어 '얼마나, 어떻게 준비해야 한다'는 구체적인 기준이 없다고 지적한다.
"현장 고치고 싶어도 돈이 없다…자금 지원 늘려야"
정부가 중소기업들의 중대재해법 대비를 위해 각종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지만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중소기업들은 정부 지원사업이 진단과 컨설팅에 집중돼 있다며 자금 지원 등의 실질적인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낸다.
경기도에서 화장품 제조업을 하는 대표 장모 씨는 "중대재해법 대비를 위한 지원금 같은 게 있으면 좋겠다. 지키라는 것은 많은데 돈도 주지 않으면서 몇천만 원씩 쓰게 한다"라며 "정부 지원사업을 받아보면 전문가가 와가지고 '이거 해라, 저거 해라'면서 지적만 하고 가는데 하고 싶어도 돈이 있어야 현장을 바꾸고 인력도 선임하고 하지 않겠냐"라고 전했다.
건설사 대표 김모 씨는 "작은 기업들은 대응 여력이 없는 상황이다. 설비나 인력을 보강하기가 부담스럽다"라며 "요즘은 워낙에 경기가 어려워서 살기가 급급하다. 어찌할 바를 모르겠다. 정부에서 컨설팅을 받아보라고 연락은 많이 오는데 지적사항이 나와도 고치고 보강하는 게 다 부담이니 손을 놓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대재해법 1년] 연재순서
<上>중소기업은 매일 교도소 담장 위를 걷는다
<中>"유예 시급한데"…법 개정 올스톱에 답답한 中企
<下>'탓'만 할 순 없다…中企 현실적 대응 방안은
minju@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