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과학자, 학술지에 설계 공개
해저 생태연구·자원개발 지원하며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 강화 목적
2024년 10월 남아프리카 공화국 앞바다에서 열린 보트 레이스.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게티이미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국이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영유권 분쟁을 벌이는 남중국해에 심해 연구 기지를 설치한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3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인젠핑 중국과학원 남중국해연구소 연구원은 이달 자국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에서 중국이 2030년 가동을 목표로 남중국해 해저 2000m에 생태 연구기지를 곧 지을 예정이라면서 기지의 설계 세부 사항을 공개했다.
해저 기지는 바다 열수 분출구에서 대규모 메탄 하이드레이트(수화물)가 함유된 메탄가스가 분출되는 현상을 연구하는 데 사용된다. 메탄 하이드레이트는 해조류나 플랑크톤 퇴적층이 썩을 때 발생하는 메탄가스가 심해저의 저온고압 환경에서 얼음 형태가 된 것이다. ‘불타는 얼음’이라고 불리며 에너지원으로도 주목받는다.
중국이 우주에 이어 해저 개발에도 적극 나서겠다는 신호이다. 익명을 요청한 베이징의 한 해양 전문가는 남중국해는 생물학, 지정학, 공학이 융합되는 최전선이 됐다며 “기지 건설이 경쟁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고 SCMP가 전했다.
중국 연구팀은 해저 기지 설치를 통해 자국의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러시아 로샤릭 잠수함의 2012년 북극 해저 조사가 러시아의 대륙붕 확장 주장을 뒷받침하는 데 활용된 바 있다. 남중국해 해저 기지도 비슷하게 활용하겠다는 의미이다.
SCMP는 “중국 시설의 계획된 위치는 우연히 정해진 것이 아니다”라며 “남중국해에는 700억t의 메탄 하이드레이트와 육상 광산보다 3배 많은 코발트·니켈 같은 희귀 광물 매장지, 극한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는 600여종의 생물이 있다”고 짚었다.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지도 |
베이징 | 박은하 특파원 eunha999@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