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권성동과 면담
"한미 관계 걱정…한총리 빨리 복귀해야"
이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서초구 이명박재단(청계재단)에서 권 원내대표와 면담을 갖고 이같이 말한 후 "지금 그래도 원내대표가 들어와 좀 안정이 된 것 같아 다행"이라고 언급했다.
윤 대통령과 한동훈 전 대표의 갈등, 탄핵소추 과정에서의 친윤-친한 갈등 등을 거론한 것으로 풀이된다. 권 원내대표가 "(소속 의원들이) 생각하는 스펙트럼이 각자 다르고 넓어서 그동안 어려움이 있었다"고 하자, 이 전 대통령은 "지금 야당은 보통 야당이 아니고 다수당이기도 하다"며 "그걸 극복하려면 여당이 정말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공개 면담에서는 이 전 대통령이 "어렵고 힘든 시기에 국민을 향한 민생과 경제정책 마련에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고 했다"며 "당이 앞으로는 분열하지 말고 단합과 통합으로, 모두가 한마음으로 합칠 때에 이 어려운 정국을 헤쳐 나갈 수 있을 것이라는 말씀을 하셨다"고 권 원내대표는 전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보편관세를 추진하는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통상 전문가인 한덕수 국무총리의 조속한 복귀가 필요하다는 견해도 피력했다. 한 총리는 노무현 전 대통령 정부 시절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지원위원장, 국무총리뿐만 아니라 이명박 정부에서 주미대사, 박근혜 정부 시절에는 무역협회장을 지낸 바 있다.
이어 "이런 시기에 한덕수 총리가 빨리 복귀해야 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당의 이익이 아니라 국가의 이익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한 총리에 대한 탄핵소추를 철회하거나, 헌법재판소가 빨리 결정해서 복귀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 탄핵 심리에 대한 의견 교환이 있었는지, 조기대선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는지 묻는 기자에게 김 원내수석대변인은 "전혀 없었다"고 답했다.
이기민 기자 victor.le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