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저감 종합대책 추진…2029년까지 13㎍/㎥ 달성 목표
142억 원 투입해 5대 분야 35개 과제 추진
광명시가 미세먼지 농도를 경기도 최저 수준까지 낮출 예정이다. 사진은 안양천에 설치된 미세먼지 신호등 /광명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더팩트|광명=김동선 기자] 경기 광명시는 2029년도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를 경기도 내 최저 수준인 13마이크로그램(13㎍/㎥)까지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는 미세먼지 저감 종합대책을 본격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2024년 경기도 평균인 18㎍/㎥보다 5㎍/㎥ 낮은 수치다.
광명시는 지난해까지 꾸준한 미세먼지 저감 정책으로 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를 2024년 기준 17㎍/㎥로 2017년 27㎍/㎥ 대비 37% 감소하는 성과를 거뒀다. 역대 최저치이다.
광명시민회관 옆에 설치된 대기환경 전광판 /광명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시는 올해 미세먼지 저감 종합대책에 142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5개 분야 35개 과제를 추진한다. 특히, 미세먼지 저감에 속도를 내기 위해 △공공자전거 도입·운영 △폭염저감시설(쿨링포그) 설치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 운영 △취약시설 실내 환경 개선 지원사업 등 4개 신규 사업을 도입한다.
폭염저감시설 설치 사업은 여름철 온열질환을 예방하고 도심 속 미세먼지 농도를 낮추기 위해 철산동 일원에 15개의 쿨링포그를 설치하는 사업이다. 도시개발에 따른 과다 미세먼지 발생이 예상되는 광명동 일원에 집중 관리구역을 운영해 사업장과 공사장에 대한 지도점검, 운행차 배출가스 단속 강화 등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아울러 이번 종합대책은 정부 정책과 연계해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미세먼지 저감 전략을 수립하고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데 중점을 둔다.
우선,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을 신속 전파하기 위해 대기오염 경보제 상황 근무반을 연중 운영한다. 이와 함께 친환경차 보급 사업도 확대 시행하고, 전기저상버스 구입비 지원과 노후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 장치 부착 및 조기 폐차 지원 등 도로 위 대기질 개선을 위한 사업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시민 참여형 탄소중립 정책인 '기후의병 탄소중립 포인트 사업'도 실천 분야 확대와 인센티브 지급을 통해 참여를 활성화할 방침이다. 지난해는 1만 983명의 시민이 가입해 3억 247만 원 상당의 포인트를 지급했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지난해 광명시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역대 최저를 기록한 것은 미세먼지 감축을 위한 다양한 노력의 결실"이라며 "올해도 시민들이 더 깨끗한 공기를 체감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저감 대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vv8300@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