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내세운 ‘WHO 라이선스’, 법적 강제력 없어
강유정 의원 “거대한 국민 사기극” 비판
강유정 의원 “거대한 국민 사기극” 비판
더불어민주당 강유정 국회의원. 사진 | 강유정 의원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포츠서울 | 김민규 기자] 게임이용장애를 질병으로 등재하려는 움직임이 또 다시 일고 있다. 이번엔 통계청이다. 국가 표준분류체계 관리기관인 통계청이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WHO ICD-11)의 한국표준질병분류(KDC) 등재 과정에서 새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것.
더불어민주당 게임특별위원회 위원장인 강유정 국회의원(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20일 국무조정실이 개최한 ‘게임이용장애 민관협의체’ 회의에서 통계청은 세계보건기구(WHO)의 ‘ICD-11 사용 조건 및 라이선스 계약’을 근거로 게임이용장애 코드를 그대로 등재해야 한다는 입장을 강하게 피력했다.
통계청이 내세운 WHO 라이선스에 따르면 회원국은 ICD-11 라이선스에 따라 사용해야 하며, 특히 ICD-11의 ‘각색’이 금지돼 있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그동안 통계청이 밝혀온 입장과도 배치된다. 통계청은 WHO 라이선스 계약을 근거로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등재가 불가결하다고 주장했다.
일각에선 통계청의 주장이 사실이라 하더라도, 이러한 중요 정보를 그동안 대외적으로 한 번도 공개하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강 의원은 “통계청이 그동안 ‘국내 여건을 반영하겠다’며 협의를 진행해 놓고 결정적 시점에서 국제 라이선스를 근거로 한국형 분류체계 마련 가능성을 차단하는 것은 거대한 국민 사기극”이라고 비판하며 “통계청이 먼저 나서 WHO와 문제를 협의해도 모자를 판에 복지부동으로 일관하고 있다. 게임산업과 콘텐츠강국 대한민국의 미래가 달린 일이 날림 처리되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법률 전문가들은 “국제기구의 가이드라인이나 라이선스 계약이 국내법 체계에서 직접적인 구속력을 갖는 것은 아니다”며 “코드 제외가 ICD-11의 체계나 분류 구조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특정 조건 하에 국내 상황에 맞는 코드 시스템을 따르기 위한 선택이라면 이 경우 ‘각색’으로 간주되지 않을 가능성도 크다”고 입장을 내놨다. kmg@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