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 양회동 열사의 장례행렬이 경찰청 앞에 도착한 뒤 묵념으로 노제를 시작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열 정부 내내 노·정 갈등 중심에 있었던 화물·건설 노동자들이 오는 7일 건설기계·화물차량을 몰고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며 전국 대행진에 나선다.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와 전국건설노동조합(건설노조)이 4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이 가장 많이 탄압했던 화물운송 노동자들과 건설 노동자들이 뭉친다”며 “건설기계와 화물차량 그리고 노동조합 차량들이 전국 대행진을 펼친다”고 밝혔다. 이들은 오는 7일 각각 부산신항·목포 신항에서 출발해 정부세종청사가 위치한 세종시까지 행진한 다음 국토교통부, 공정거래위원회, 고용노동부 앞에서 규탄 대회를 연다. 다음 날인 8일에는 국회 앞에서 화물운송·건설기계 노동자들의 노동기본권을 쟁취하기 위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2·3조 개정안 등 입법 촉구에 나선다.
화물연대와 건설노조는 “윤석열이 불법적인 계엄을 선포한 12월 3일, 그로부터 2년 전부터 이미 노동자들에 대한 계엄이 자행됐다”며 “노동자에 대한 계엄령 1호는 화물연대의 파업에 대한 업무개시명령, 계엄령 2호는 건설노조에 대한 탄압”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2022년11월 화물노동자 최저임금인 안전운임제 일몰에 반대하며 화물연대가 총파업에 돌입하자, 윤 정부는 이를 “불법 파업”이라 내몰며 특수고용직인 화물 노동자들에 대해 공정거래법 위반이라며 사상 초유의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했다. 같은 해 말부터는 윤 정부는 범정부 차원 ‘건설현장 불법행위 근절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건설노조 탄압을 이어갔고, 2023년 노동절 건설 노동자 고 양회동 씨는 “노조 탄압을 멈춰달라”는 말을 남기고 분신해 스스로 숨졌다.
이들 노조는 “윤 정부의 노조 탄압 속에서 노조가 만들어온 성과들은 무력화됐다”며 “현장은 노조가 있기 전으로 돌아가 노동자들은 더 많은 시간, 더 낮은 임금을 받아들여야 했고 안전하지 않은 현장에서 일해야 했다”고 말했다. 이어 “탄압의 시간을 이겨내고 다시 한 번 현장을 바로 세울 시간이 왔다”며 “노동자들을 적으로 돌려세운 윤석열을 하루빨리 파면하고 노동자들에 대한 계엄으로 엉망이 된 화물운송·설현장을 바로 세우기 위해 투쟁을 이어가겠다”고 했다.
김해정 기자 sea@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