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WC2025] 새로운 5G 네트워크 인프라 제품군 발표
아웃포스트 랙, 아웃포스트 서버 발표
올해 말 정식 출시..텔레포니카, 오렌지와 시범 사업
이 제품군은 통신사들이 5G 네트워크와 클라우드 기반 RAN(Radio Access Network) 워크로드를 보다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는 AWS 클라우드 환경을 설치형(온프레미스)네트워크로 확장할 수 있는 중요한 진전을 나타낸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AWS 아웃포스트 랙, 고성능 5G 네트워크 워크로드 최적화
이 제품은 5G 코어 UPF(User Plane Function)와 RAN CU(Centralized Unit) 워크로드의 증가하는 처리량 요구를 충족하며, 통신사들이 AWS의 인프라와 서비스를 활용해 네트워크를 보다 효율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WS 아웃포스트 랙은 4세대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Sapphire Rapids)를 기반으로 성능을 강화했으며, AWS Nitro 시스템을 통해 보안과 성능을 대폭 향상시켰다.
이를 통해 통신사들은 다양한 위치에서 워크로드를 배치하고 관리할 수 있는 유연성을 확보하며, 클라우드와의 통합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AWS 아웃포스트 서버, 클라우드 RAN 워크로드 최적화
이 제품은 5G 네트워크 엣지에서 요구되는 엄격한 폼 팩터와 처리 성능을 충족하며, 노키아와의 협력을 통해 개발됐다.
이를 통해 통신사들은 5G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클라우드 기반 가상화된 RAN 솔루션을 보다 쉽게 배포할 수 있다.
AWS 아웃포스트 서버는 또한 AWS Graviton3 프로세서를 활용하여 고성능 컴퓨팅 옵션을 제공하며, AI 추론 및 엣지 컴퓨팅의 요구를 충족한다. 향후 RAN 공급업체와 협력해 추가적인 가속 카드 통합 옵션도 제공될 예정이다.
올해 말 정식 출시..텔레포니카, 오렌지와 시범사업
데이브 브라운(Dave Brown) AWS 컴퓨팅 및 네트워킹 부문 부사장은 “이번 AWS 아웃포스트 제품군을 통해 통신사들은 AWS 클라우드 환경을 5G 네트워크의 최외곽까지 확장할 수 있게 되며, 전체 5G 네트워크 운영을 AWS 클라우드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다”며, “AWS 아웃포스트는 5G 및 차세대 네트워크의 성능과 유연성을 지원하는 중요한 인프라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AWS 아웃포스트 랙과 AWS 아웃포스트 서버는 2025년 말 정식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텔레포니카, 오렌지, 듀 네트워크 등은 올해 후반 테스트 검증을 위한 시범 프로젝트를 시작할 예정이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